5.18행사위, 정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묵살에 천막농성 돌입
별도의 기념식 없이 천막농성. 100만국민서명운동 등 전개키로
오는 18일 오전에 열릴 정부 주도의 5.18민중항쟁 33주년 기념식이 반쪽 행사로 치러질 전망이다.
5.18민중항쟁 33주년 행사위원회와 5.18 3개단체(유족회 부상자회, 구속부상자회), 광주지역시민사회단체는 15일 저녁 회의를 열고 정부에 요구한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기념식 제창이 불발된데 대해 천막농성과 기념식 불참 그리고 100만 국민서명운동, 박승춘 국가본훈처장 사퇴운동을 전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아래 5.18행사위 성명서 전문 참조)

이들 단체들은 이날 정오까지 정부가 ‘임을 위한 행진곡’ 기념식 제창에 대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제창 대신 합창’으로 알려지자 저녁 늦게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5.18단체와 시민사회단체 등 5.18행사위 소속 단체들이 기념식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또 이들은 민주노총 등 진보연대를 중심으로 국립5.18묘지 앞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기념식 공식 지정곡을 요구하는 천막농성을 16일 오전부터 무기한 전개하기로 했다.
정부의 ‘합창’ 방침에 대해 강운태 시장과 지역국회의원 등 정치권과 시민사회로 구성된 ‘임을 위한 행진곡 대책위’는 16일 아침 대책회의를 열고 정부에 대해 기념식 제창을 재촉구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지난 2010년 '임을 위한 행진곡' 불발과 '방아타령' 공연에 반발하여 5.18단체와 광주지역시민사회단체가 정부가 주도한 기념식에 불참하고 옛 5.18묘지에서 별도의 기념식을 치른 바 있다.

| 성 명 서 [전문] 5·18민중항쟁 33주년기념 행사위원회는 5·18왜곡과 폄훼의 상징적 사례인 ‘님을 위한 행진곡’의 퇴출을 막기 위해 대통령이 참석한 기념식 공식 식순에 참석자 일동이 합창이 아닌 제창으로 결정하고 공식기념곡 지정을 정부 측에 요구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처 등 정부는 공식답변 시한인 5월 15일 정오까지 단 한마디의 언급조차 없었다. 이것은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현 정부의 인식 수준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으며, 30여년간 국민의 가슴속에 살아있는 ‘님을 위한 행진곡’을 퇴출시키겠다는 의도로써 5·18민주화운동을 전폭적으로 지지해온 모든 국민과 함께 강력히 규탄하는 바이다. 이 같은 처사는 5·18민주화운동의 가치를 역사 속에서 지우고 부정하는 반역사적 세력의 5·18왜곡을 지지하고 방조하는 행위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5·18민중항쟁 33주년기념행사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결의 한다. 1. 5·18민중항쟁 33주년 기념행사위원회는 33주년 국가기념식에 불참한다. 2. 5·18왜곡 방조 규탄 및 ‘님을 위한 행진곡’ 공식 기념곡 지정을 위한 100만 범국민서명운동을 전개한다. 3. 5·18왜곡을 시정하고 ‘님을 위한 행진곡’이 공식 기념곡으로 지정될 때까지 천막농성 등 상황과 여건에 맞게 다양한 대응을 전개한다. 이는 행사위 참가단체 전체 즉, 광주지역 60개 단체, 전국 6대 권역별 기념행사추진협의체, 전남 12개 시군 행사위원회, 독일·일본·미국 등 해외 행사위원회 등에서 동시 서명운동을 시작하고 모든 행사 전·후에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키로 한다. 이후 구체적인 실천방안은 천막농성장 안에서 협의·추가키로 한다. 2013년 5월 16일 5·18민중항쟁 33주년기념행사위원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