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청 광양경자청 여수광양항만공사 책임 공방" 질타
반복된 금속성 폐기물 화재에 대한 시민 안전 우려
정부·관계기관의 책임 있는 조치 요구

전남 광양시의회가 광양항 배후단지에서 최근 발생한 폐기물 화재와 관련해  정부와 관계기관에 전면적인 조사와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나서 관심이 모아진다. -아래 성명서 전문 게재-

광양시의회는 지난 24일 열린 제343회 제2차 정례회 2차 본회의에서 광양항 배후단지 화재와 관련해 ‘폐기물 전수조사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 촉구 성명서’를 발표하고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반복적 위험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전남 광양시의회.ⓒ광양시의회 전경
전남 광양시의회.ⓒ광양시의회 전경

지난 9월 광양항 배후단지 물류창고에서는 알루미늄 금속성 폐기물이 10일간 연소하며 광양시 전역에 매캐한 냄새와 연기가 확산됐다.

이후 추석 연휴 기간 같은 장소에서 다시 자연발화 조짐이 발생해 소방당국이 긴급 조치를 취하는 일이 되풀이됐다. 

시의회는 배후단지 곳곳에 1만 톤이 넘는 금속성 폐기물이 야적된 것으로 추정되는 등 관리 부실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화재 원인 물질이 담긴 750kg 톤백 300여 개가 도로변에 방치돼 있고, 물류창고 내부에도 다량의 톤백이 그대로 적재돼 있어 추가 사고 위험이 여전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시의회는 여수지방해양수산청,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여수광양항만공사가 책임 소재만 놓고 공방을 벌이면서 실질적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성명서에서 △정부의 화재 경위 조사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 △배후단지 폐기물 보관 실태 전면 조사 △위험 폐기물에 대한 신속한 조치 등을 요구했다. 

광양시의회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은 국가와 공공기관의 최우선 과제이다”며 “관계기관이 즉각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양항 배후단지 화재 관련, 

폐기물 전수조사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 촉구 성명서>(전문)

지난 9월 광양항 배후단지 내 물류창고에서 발생한 화재로 알루미늄 금속성 폐기물이 10일 동안 연소되었고, 이로 인해 숨쉬기조차 힘들 정도의 매캐한 냄새와 연기가 광양시 전역을 뒤덮어 시민들은 극심한 불편과 불안을 감내해야 했다.

그러나 피해가 완전히 해결되기도 전에, 같은 장소에서 지난 추석 연휴 기간 또다시 폐기물이 자연발화 조짐을 보였고, 소방당국의 긴급조치로 추가 화재를 막는 위험천만한 상황이 재발하였다.

더 심각한 것은, 이와 유사하게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금속성  

폐기물이 야적된 장소가 광양항 배후부지 곳곳에 존재하고, 그 적재량도 만여 톤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이다.

아직도 화재 현장 도로변에는 화재 원인 물질이 담긴 750kg 톤백 3백여 개가 그대로 방치되어 있으며, 물류창고 내부에는 대량의 톤백이 아무런 대책 없이 적재된 채 남겨져 있는 실정이다.

알루미늄 금속성 폐기물은 수분에 노출될 경우 언제든 화학반응으로 발화할 수 있는 위험 물질임에도 불구하고, 관계기관인 여수지방해양수산청・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여수광양항만공사는 절차와 소관만을 따지며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관계기관들이 책임 공방에만 몰두하는 사이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전가되고 있으며, 시민의 생명과 안전은 위험 속에 방치되고 있다.

이에 광양시의회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 국가와 공공기관의 최우선 책무임을 천명하며 다음과 같이 촉구한다.

하나, 정부는 이번 화재 사고의 경위를 철저히 조사하고, 광양항 배후 단지의 관리 체계와 책임 규정을 명확히 하여 유사한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

하나, 관계기관은 광양항 배후단지 내 모든 폐기물 보관 실태를 전면 조사하고, 위험 폐기물에 대해 신속하고 확실한 조치를 이행하라.

2025년  11월  24일

광  양  시  의  회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