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소장에 책임전가. 국감 출석 거부" 비판...유가족에 전방위 해결책 제시해야"
"현장안전 및 지역 주민들의 상생 발전을 위한 사업의 매뉴얼을 제시하라" 요구
지난 6월 9일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광주 학동 재개발 철거건물 붕괴 참사가 115일째를 맞았지만 진실규명이 이뤄지지 못한 가운데 유가족과 시민사회가 '몸통'인 현대산업개발의 법적책임을 거듭 촉구했다.
유가족과 부상자 그리고 시민사회, 진보정당이 참여한 '광주학동참사 시민대책위원회'는 1일 서울 용산구 현대산업개발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현대산업개발에 대해 진실규명 협조와 유가족, 부상자에 대한 전방위적인 피해 대책 마련, 광주지역 재개발 현장 주민과 상생방안 제시 등을 요구했다. (아래 기자회견문 전문 참조)

학동대책위 대표단 20여명은 이날 오전 상경 기자회견에서 "경찰 1차 수사 결과와 국토부 조사 결과 현대산업개발은 불법재하도급이 드러난 참사의 가장 중요한 원인제공자이지만 진실을 감추고 책임 벗어나기와 꼬리자르기에 급급하고 있다"며 "참사 직후 정몽규 현대산업개발 회장의 진실규명 약속 이행과 다른 국회 국정감사 증인 출석 거부 등 이중적인 행태"를 비판했다.
대책위는 "정몽규 현산 회장이 1일부터 시작된 국회 국정감사 증인 출석을 거부하고 권순호 대표이사만 출석시키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며 "현대산업개발은 되지도 않는 거짓 해명을 멈추고 지금 당장 참사의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수사와 사회적 노력에 적극 협조하라"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유가족과 부상자 피해대책에 대해서도 "정몽규 회장은 학동 참사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무조건 유족들의 뜻에 따라 피해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장례식이 끝난 이후 단 한번도 유족과 부상자들에게 머리숙여 사과한 바 없다"며 "오히려 현대산업개발은 진실 규명과 책임 있는 태도를 요구하는 유족들에게 세월호 사건 때보다 더 많은 보상금을 줄 테니 합의하자는 말로 유족들의 가슴에 대못을 박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현산은 17명의 사상자를 낸 이 가슴 아픈 참사의 원인 제공자로서 책임을 느낀다면, 먼저 피해당사자들에게 인간적 예의를 갖추고 유가족과 부상자들의 피해 회복과 일상으로의 회복을 위해 전방위적 해결책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또 대책위는 "현대산업개발은 광주 동구 계림2지구 재개발 과정에서도 주민 안전을 무시한 철거 시공에 이어 일조권 문제, 소음 공해, 공사현장의 진동으로 인한 피해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며 "재개발현장 주변 주민과 상생발전 매뉴얼 제시 등"을 요구했다.
학동참사시민대책위는 기자회견 이후 항의서한을 현대산업개발 관계자에게 전달하고 조속한 입장을 밝힐 것을 요구했다.
한편 1일부터 국회 국정감사가 시작된 가운데 행안위는 오는 5일 오전10시, 환노위는 6일 오전 10시, 국토위는 7일 오전 10시에 각각 권순호 현대산업개발 대표이사를 증인으로 불러 광주 동구 학동4구역 개개발사업의 불법 행태와 건물 붕괴 참사를 따질 예정이다. 그러나 당초 국감 증인 출석 대상이었던 정몽규 현산 회장이 여야협의 과정에서 명단에서 누락돼 비판을 사고 있다.
학동참사 대책위 기자회견문 [전문] 현대산업개발은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 학동 참사의 가장 중요한 원인 제공자로 꼽힌다. 이미 경찰은 지난 1차 수사발표를 통해 현대산업개발이 불법적인 재하도급을 인지하고 있음을 분명히 하였고, 현대산업개발의 현장 소장 등은 구속되어 재판이 진행 중이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현대산업개발은 참사의 진실을 감추고, 이 참사의 책임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에만 골몰하고 있다. 정몽규 회장은 학동 참사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진실 규명에 협조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무조건 유족들의 뜻에 따라 피해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었다. 그런데 이 약속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현대산업개발은 진실 규명을 위해 적극 협조하라! 정몽규 회장의 약속과는 달리, 현대산업개발의 대표이사는 참사 이후, 6월 18일에 있었던 국회 국토위의 현안 보고에서 ‘수십 년 동안 업계에서 일해 왔지만, 현대산업개발에서 진행한 재개발사업에서 불법 재하도급이 있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고 어처구니없는 변명을 늘어놓기도 했다. 이에 덧붙여 ‘현장의 업무는 현장 소장에게 모두 위임하기 때문에 현대산업개발의 대표는 이런 사안들을 보고받지 않는다. 문제가 있다면 그것은 현장소장 차원에서다’라고 꼬리자르기를 시도하기도 했다. 현대산업개발은 학동참사 유족과 부상자들에게 진정어린 사과와 함께 피해회복을 위한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라! 학동 참사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무조건 유족들의 뜻에 따라 피해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던 정몽규 회장은, 장례식이 끝난 이후 단 한번도 유족과 부상자들에게 머리숙여 사과한 바 없다. 우리는 요구한다. 현대산업개발은 단지 몇 푼의 돈만으로 유족들에 대한 피해 회복 노력을 다했다고 말하지 마라! 17명의 사상자를 낸 이 가슴 아픈 참사의 원인 제공자로서 책임을 느낀다면, 먼저 피해당사자들에게 인간적 예의를 갖추어 만나라! 현대산업개발은 현장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라! 학동 참사는 오직 이윤을 위해 안전 따위는 뒤로 밀어놔도 좋다는 인식이 빚어낸 참극이다. 광주의 학동 4구역에서 벌어진 무책임한 공사 과정은 현대산업개발이 공사를 수주한 다른 사업장에서 반복되었던 일이다. 학동 참사의 유가족들은 현대산업개발이 참사의 아픔이 가시기도 전에 광주의 또 다른 재개발 공사를 수주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공사 연기 등을 이유로 학동4지구 재개발조합 측에 추가적으로 1500억 원의 추가 공사비를 요구하고, 재개발조합 측과 입을 맞춰 이 돈의 일부로 유가족들에게 보상하는 계획을 세웠던 것에 분노했다. 우리는 촉구한다! 2021년 10월 01일 학동참사 시민대책위 광주시민단체협의회[광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광주전남민주언론시민연합, (사)시민생활환경회의, (사)광주시민센터, 우리농촌살리기운동본부천주교광주교구,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광주지부, 참여자치21, 광주환경운동연합, 광주흥사단, (사)광주전남소비자시민모임, (재)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광주에코바이크, 가톨릭공동선연대, (사)광주전남녹색연합, 광주복지공감플러스, 광주YWCA, 광주YMCA, (사)윤상원기념사업회,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광주여성민우회, 광주여성센터, 광주여성노동자회, 광주여성인권지원센터, 광주진보연대, 6.15시대 길동무 새날. 광주전남대학생진보연합. 민족민주열사희생자추모단체광주전남연대회의, 노동실업광주센터, 조국통일범민족연합남측본부 광주전남연합, 국민주권연대 광주전남지역본부, 광주시농민회, 민주노총광주지역본부, 전국공무원노동조합광주본부, 전국교직원노동조합광주지부, 광주기독교협의회NCC인권위원회, 전국교수노조광주전남지부, 정의당광주광역시당, 진보당광주광역시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