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군 발포 , 언론. 교통통제 등 주요 역사적 사실 누락한 교과서 많다
세계기록유산 등재 누락. 사상자 등 희생자 발생 명시 않은 교과서 3종
박혜자 의원(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 광주 서구갑)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해 현행 17종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서는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 내용을 분석해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5‧18 민주화 운동과정에 대한 기술을 보면, 좋은책 신사고 등 5종의 경우 계엄군의 무자비한 폭력진압과 발포로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음을 비교적 자세히 서술하고 있는 반면,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계엄군의 발포 사실을 적시하지 않고 ‘폭력적 진압’ 정도로 모호하게 기술하고 있다.
희생자에 대한 기술의 경우에도 민주화운동으로 인해 사상자가 발생하고 무고한 시민이 목숨을 잃은 사실을 명확히 서술한 교과서가 있는 반면, 3종의 교과서에서는 ‘신군부 세력이 이를 무력으로 진압하자 학생과 시민들은 시민군을 조직하여 저항하였다’ 정도로만 기술하고 있다고 박 의원이 밝혔다.
박 의원은 "무엇보다 당시 언론과 교통의 통제로 진실이 왜곡되었음을 밝히는 교과서는 17종 중 4종에 불과하였다'며 "광주민주화 운동이 1980년대 민주화운동의 밑거름이 되었음을 명시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교과서는 17종 중 10종이며, 2012년 검정돼 현재 중학교 1학년이 사용할 있는 역사②의 경우, 9종 중 3종에서는 이를 명시적으로 기술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5·18기록물이 UNESCO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이후 2012년 검정된 역사②의 경우, 9종 중 6종은 이러한 사실을 기술한 반면, 3종에서는 이를 전혀 기술하고 있지 않았고, 5‧18민주화 운동에 대한 추가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사이트(5·18 기념재단)를 공개하고 있는 교과서는 17종 중 6종에 불과하였다.
박혜자 의원은 이번 역사교과서 분석 결과에 대해 “최근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도를 넘은 왜곡, 폄훼 시도에 대해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왜곡과 폄훼 시도를 차단하고 5·18 민주화 운동을 올바르게 알리기 위해서는 우리 청소년들이 배우는 교과서에서부터 5·18 민주화 운동의 배경, 과정, 의미 및 정신을 제대로 기술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