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옛 전남도청 앞 노제 후 5.18민주묘지에 안장
고인의 벗과 제자들 "민주화운동의 큰 업적" 추모

ⓒ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예제하

지난 3일 운명한 '민주화운동의 큰별' 고 이홍길 교수가 5일 국립5.18민주묘지에 영면했다. 

이날 오전 고인의 운구는 빈소를 출발하여 고인이 지도부로 참여했던 1980년 5.18민중항쟁 최후항쟁지 옛 전남도청 앞 5.18민주광장에서 유가족과 민주화운동 동지, 시민사회단체 회원, 시민과 함께 영결식을 갖고 이날 오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됐다. 

엣 전남도청 앞 5.18민주광장에서 열린 영결식에서 고인이 벗이자 동지 그리고 장례위원장을 맡았던 박석무 선생은 "반민주적이고 반인륜적인 독재의 서슬로 세상이 얼어붙어 있을 때 지식인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를 가장 잘 보여주었던 분이 이홍길 교수의 삶이었다"고 회고했다.

이어 "4·19민주혁명, 전남대학교 교육지표사건, 5·18민주화운동, 6월항쟁과 촛불혁명에 이르기까지 소용돌이치던 역사의 한복판을 비켜서지 않았으며, 행동하되 자신을 드러내지 않았던 결코 흔하지 않은 지식인 한 분을 떠나보내고 있다"고 추모했다.

고인의 오랜 제자였던 신일섭 전 호남대학교 교수는 조사에서 "1970년대 유신독재반대운동과 1980년 5.18민중항쟁 과정에서 다시 투옥과 해직, 복직하는 고난 속에서 고인은 '역사는 반복되는가'라고 늘 화두처럼 되뇌이며 후학들에게 민주주의 신념을 강조하셨다"고 고인의 가르침을 회고했다.

정성택 전남대학교 총장은 " ‘민주화의 성지, 전남대학교’의 전통과 명성을 설명하는 데에 어찌 선생님의 삶의 궤적을 빠트릴 수 있겠느냐"며 "민주화 운동의 출발점인 4·19혁명에서부터 한일국교정상화와 월남파병반대 투쟁, <우리의 교육지표> 사건, 5·18항쟁과 촛불운동에 이르기까지 한국현대사와 전남대 민주화 운동의 고비마다 길목마다 선생님의 분노와 외침, 선언과 실천은 큰 족적으로 남아 있다"고 추모했다.

'우리의 교육지표' 동지인 박몽구 시인도 '말과 행동이 하나임을 증거하는' 고인의 삶을 조시로 노래하며 산자들의 다짐을 외쳤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