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이 다가오고 있다. 자고 일어나면 공천잡음이고 이합집산이다.

자리 욕심에 뒤통수 후리는 패권 다툼까지 막장 드라마가 따로 없다.

“썩을 놈들!”, “저 부류들의 정치는 원래 그래!”라며 손가락질 할 수도 있으련만 지리멸렬하기 짝이 없는 노동정치의 현실은 더 이상의 말문을 닫게 한다.

비록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노동자가 주체로 나서는 노동정치는 어떠해야 하는지 분석했다.  

ⓒ광주인
ⓒ광주인

거론되는 이 정당들이 “노동정치 세력들 맞나?”라고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모든 비판은 달게 받으며 범노동정치세력에 포함하였음을 고한다.

노동정치진영 원내 의석 다수파 정의당은 서너 갈래로 갈라졌고 진보당과 일부 군소정당들은 위성정당 야권연합으로, 이도 저도 아닌 소수파들은 역량의 한계로 한탄만 하고 있다.

노동정치의 대중적인 기반인 민주노총은 정치방침조차 결정하지 못하고 있어 노동정치를 찾기가 쉽지않다.

왜? 노동정치세력들은 하나가 되지 못하는가?

지난 대통령선거를 돌아보자.

일부 진영에서 이렇게 분열할 수만은 없다며 <대선후보 민중경선>을 제안했고 민주노총과 다양한 노동정치 세력들이 참여한 바 있다.

그러나 짧은 시간과 경선방식 등의 차이로 인해 성사되지 못했고 정의당과 진보당의 후보들은 매우 저조한 득표율을 보였다.

물론 민중경선을 통해 단일 선본으로 대선에 임했다고 해서 훨씬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고는 보지 않는다.

하지만 도토리 키재기와 사분오열 각자도생에서 대선후보 민중경선과 공동선본 경험은 다가오는 총선에서 또 다른 공동전선과 단일정당으로 이어지는 토양이 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민중경선은 성사되지 못했고 “더 깨져야 한다!”는 좌절감과 불신의 벽만 두텁게 하고 말았다.

그리고 2년 후 국회의원 총선거가 다가왔지만 노동정치의 공동대응은 더 이상 기대할 수가 없게 되었다.

몇 차례 협의 과정이 있기는 했지만 다분히 형식적이었고 김빠진 논의에 그치고 말았다.

ⓒ광주인
ⓒ광주인

'더 이상 분열하지 말고 희망의 노동정치를 일구자'는 목표도 노동자민중의 정치적 진출이라는 화두도 보이지 않았고 오직 자기 정파의 주판알 뿐이었다. 

그 결과 노동정치 지형은 연동형비례제를 유지한 민주당 위성정당으로 바뀌고야 말았다.

진보당은 재야인사들을 앞세워 민주당을 압박하고 용혜인 기본소득당은 일치감치 민주당 주도 위성정당 참여를 목표로 움직였다.

최근에 합당한 녹색정의당이 위성정당 불참을 선언했지만 탈당과 분열 등으로 힘이 약화되 3%의 벽을 넘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또한 노동정치정당들 대부분이 민주당에게 지역구 의석 할당을 요구하고 있는 것 같다.

수도권 충청권등 국힘당과 초접전 지역을 중심으로 자당 후보를 사퇴시키는 대신 호남권이나 울산 창원 등 몇몇 지역구 의석을 확보하자는 것이다.

'반윤반국힘전선'이라는 미명이 무색하게 결정 권한은 민주당이 갖고 있다.

위성정당은 의석수 배분을 놓고 노동정치들이 서로 싸우고 있고 지역구는 민주당의 양보를 받아내느냐의 싸움으로 바뀌고 있다.

그 어디에도 노동자민중 스스로의 힘에 의한 정치세력화는 보이지 않는다.

아니 노동정치가 폐기되고 있을 뿐이다. 

노동자 민중의 독자정치세력화운동은 노동자 민중 스스로가 정치의 주체로 나서게 하는 것이다.

대자본이나 중소자본을 대변하는 정치세력에 기대서는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길이다.

노동정치에 있어서 의회 진출 또한 중요한 부분임에 틀림이 없다.

1석, 10석, 20석 교섭단체도 만들고 정치적 영향력과 지평도 넓혀내야 한다.

그러나 의회 진출과 권력장악은 노동자 민중들이 정치적으로 자각하고, 함께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을 공유했을 때 그 가능성이 열리는 것이다.

계급적 기반이나 정치적 입장이 전혀 다른 자본의 한 분파와 협잡(개인적으로는 ‘구걸’이라고 본다)으로는 결코 열리지 않는다.

ⓒ광주인
ⓒ광주인

또한 노동정치는 의사당 건물 안의 소수 의원들이 만드는 것이 아니다.

노동자들이 의사당 충돌을 TV에서나 보고 구경꾼으로 전락하는 것은 결코 노동정치가 아니다.

과거 김영삼정부 시절 날치기 통과된 ‘노동법·안기부법’ 개악을 막아낸 것은 100석 가까운 야당이 아니었다.

노동정치 의원 한 명 없었지만 정부와 국회를 상대로 정치파업을 전개했던 노동자들의 투쟁 때문이었다.

노동정치의 힘은 바로 이런 것이다.

'노동 없는 대선'에 이어 '노동 없는 총선'이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거쳐야 할 과정이라면 부인하지 말자.

차거운 얼음장 밑에서도 물고기는 헤엄을 치고 눈 덮인 겨울의 밭고랑에서도 보리는 뿌리를 뻗지 않던가?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