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민교육감, 시민. 민주 지역성을 갖춰야"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을 세우고 다져가야"

교육감 선거의 바탕에 깔린 '시민대표' 그 논리적 함의는 무엇인가? 어떻게 시민교육감 추대위를 구성해야 하는가? 6.4지방선거 앞에 우리 교육계에 절실히 요구되는 화두다.

다행스럽게도 광주교육의 미래가 밝다. SNS에서 차기 교육감 후보를 위한 논쟁이 뜨겁다. 어떤 이는 현교육감에 대해 "기득권 내려놓고 시민의 뜻을 받들겠다는 것보다 더 큰 결단과 겸손은 없다"고 추켜세웠다.  

▲ 장휘국 광주광역시 교육감이 지난 '시민후보 단일화 경선 수용'입장을 밝히고 있다. ⓒ광주인

어떤 이는 "시민사회 기대와 요구를 다 하셨는지? 반문하고 설득력있게 이해시키는 일을 우선 해달라."고 지지를 유보하고 평가를 우선 하자는 사람도 있다.

나는 전자의 언급에 대해 동의하기 어렵다. 논리적인 모순이 너무 짙게 깔려 있어서다. 더 솔직히 이야기하자면 현교육감을 추켜세우는 용비어천가 격의 칭찬을 먼저 앞세울 일이 아니다.

우리는 지금 지역에 맞는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을 세우고 다져가야 할 지점에 서 있다. '후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정책적 쟁점이 중요하다.' 그 첫 출발선이 차기 교육감 후보 추대를 위한 조직이 짊어져야 할 역할이다. 그것이 선거 이슈의 핵심으로서 그 기준과 방향이 되어야 하는 것도 명백한 일이다.

이른바 진보진영의 차기교육감 후보 결정을 위한 대전제라는 것이다. '교육감 후보는 시민단체가 추대한 시민후보다.'

2기에서는 철저하게 시민의 자발성을 원칙으로 후보추천과정을 진행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기득권'이라는 표현을 쓰면 안 된다. '경선에 참여하는 결단' 등의 표현은 잘못 되어도 단단히 잘못된 것이다. 시민의 뜻을 받아들여 결단과 겸손이라니, 오류의 '화룡점정'이 아닌가. 겸손이 아니라 오만함이 깊이 배어 있음을 직감할 수 있다.

'시민'이라는 표현을 하는 순간 기득권은 후보 누구의 것도 아니다. 왜, '기득권'이는 말은 개인의 권력욕을 근거로 쓰는 것이지 시민의 권력의지를 표현하는 말은 아니다. 시민을 파는 꼴이다. 기득권의 주체는 '시민'이라는 것을 놓치고 있다는 말이다. 그래서 현교육감을 지지하는 당신들은 오만의 도가 극에 달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임기가 끝나면 '시민후보'로서 역할기간의 유효성이 끝나는 것이지 무슨 '기득권'을 내려놓을게 있는가? 시민의 재검증을 받아야 다시 도전할 수 있는 권리와 자격이 살아나는 것이다. 그 동안 시민들을 향한 복무가 철저했으면 다른 후보들이 요청하기 전에 먼저 재검증받겠다고 했어야 논리적으로 맞는 것이다. '시민이 추대했다'고 전제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담대한 주제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 그래야 후보당사자들의 이해관계에 매몰되지 않는다. 먼저 제안한다. 추대위를 구성하는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여야 한다.

▲ 광주광역시교육청. ⓒ광주인

첫번째, 시민성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시민의 후보' 추대가 될 수 있으려면 선거논리가 아닌 시민의 요구조건을 다듬고 시민의 눈높이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두번째, 민주성이다. 민주성은 시민을 주인으로 존중하고 자발성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컨대 다른 지역에서 한 것처럼 '시민선거인단'같은 시민의 참여가 가능하도록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 비용상의 문제가 있겠지만 인터넷으로 얼마든지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후보진영의 사람을 배제하고 추대위를 구성해야 한다.

세번째, 지역성이다. 교육과 지역사회를 위한 거버넌스를 위해 어떻게 실천하고 미래를 얼마나 도모했는가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그동안 1기 추대에 참여했던 시민단체에 대한 평가와 반성도 함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정책(검증주제)이다. 지역의 교육적 콘텐츠나 어젠더가 무엇인지 공통의 이슈를 정리하는 선별과정을 거쳐야 한다. 무엇으로 후보를 선별할 것인가를 다듬는 일 역시 후보를 결정하는 것 만큼 중요한 일이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