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수 제2차관 “정부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겠다”
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안영근)이 최근 열린 보건복지부와 간담회에서 다병원·특성화 체제를 고려한 평가기준 완화 등 지역의료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전달했다.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광주권역외상센터로 지정된 전남대병원을 지난 달 24일 방문해 필수의료 중증·응급분야의 주요 정책을 수행하는 의료진의 의견을 듣고, 필수의료 지원과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의 이행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약속했다.

전남대병원은 이날 간담회에서 광주권역외상센터 운영현황은 물론 예비타당성 조사 중인 ‘미래형 뉴 스마트병원 신축사업’ 계획안을 설명했으며, 빛고을전남대병원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제안했다.
지난 2014년 권역 류마티스 및 퇴행성 관절염 전문질환센터로 설립된 빛고을전남대병원은 지난 2020년 종합병원으로 변경됐지만 연 평균 100억원의 손실과 레지던트 수련병원으로 지정되지 못해 수술 등의 진료활동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
이에 전남대병원 9병동 인정을 통한 상급종합병원으로 변경을 위해 의료법 개정 등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또 국립대병원 중 유일한 다병원 체제인 전남대병원은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나 의료질평가 등에서 단일적인 평가기준 적용으로 조건을 충족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상대적 불이익을 받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개선을 요청했다.
안영근 병원장은 “광주권역외상센터 등 광주·전남지역의 필수의료를 담당하는 국립대병원으로서 지역완결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전남대학교병원과 같은 권역책임의료기관이 지역완결형 필수의료 네트워크의 중심축으로서 필수‧중증 최종치료병원, 임상‧의학연구 거점, 감염병 등 공공의료 리더, 인력양성‧공급 원천이라는 4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달라”며 “정부도 이를 정책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