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6일부터 2주간 광주 5.18민주화운동기록관에서 열려
6일부터 2주간 광주 5.18민주화운동기록관 3층에 위치한 기획전시실에서는 위안부 문제를 다루는 전시 "말하여진 것들과 말해지지 않은 것들"이 열린다.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공개증언 이후 위안부 문제는 한국사회뿐 아니라 한일관계에서도 언제나 뜨거운 이슈 중 하나였다.

현재까지도 국내외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역사를 부정·왜곡하는 이들이 있고, 우리 사회 안에서도 피해자들에 대한 혐오발언이 공공연하게 지속되고 있다.
위안부 문제는 과거가 아니라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번 전시는 이 뜨거운 논쟁 속에 어느덧 갇혀 버린 피해당사자인 "할머니"들에게 집중한다.
최초의 위안부 피해사실은 고 김학순 할머니의 1991년 공개증언에서 비롯되었다.
해방 이후 46년만의 일이었다. 그 긴 시간을 피해자들은 침묵 속에 지냈다. 무엇이 그들을 침묵하게 했는지가 이 전시의 출발점이다.
이번 전시에 참여한 안해룡, 이토 다카시(伊藤孝司) 두 작가의 사진과 영상들에서 피해의 증거들을 찾기는 쉽지 않다.
사건은 이미지 속에 존재하지만, 사건의 맥락은 흩어져 있다. 상징으로서의 위안부가 사라진 자리에는 할머니들이 아무도 들어주지 않는 무언가를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있다.
할머니들로부터 나오는 유일한 소리는 노래다. 위안부라는 꼬리표를 뗀 그 자리에는 평범한 할머니들이 있을 뿐이다.
위안부 문제의 진실 규명은 할머니들을 "과거 역사의 비극적 피해자"로만 받아들이면서 생기는 것은 아닐까?
피해자들의 침묵의 시간이 의미하는 것, 무엇이 그들을 말하지 못 하도록 했을까에 주목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증명하기 위해 누군가를 삭제해가는 지금의 비정상적인 과정을 멈출 수 있는 해법이 될 수 있지 않겠냐는 질문을 이 전시는 관객들에게 던진다.
여성가족부 <2022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관련 전시> 사업 지원을 받아 추진되는 이번 전시는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희움’ 주관으로 18일까지 열린다.
한편 본전시로 지난 10월 19일부터 올해 말까지 대구에서는 '낯섦과 익숙함:ODD ADD DD"이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에서 열리고 있다.
<전시서문> 중 일부 침묵이 깨졌다. 1991년 8월 14일이었다. 그러나 다시 침묵이다. 현재 일본 정치가와 역사수정주의자들은 다시금 '위안부' 의 존재를 전면 부정하고 나섰다. 생각해보면 증언과 증언 사이에는 늘 침묵이 있었다. 피해자들은 살아서 돌아왔지만 그들은 말할 수 없는 사람들이었다. 보다 선명한 ‘역사의 비극적 피해자’의 이미지, 그런 이미지가 될 때에야 보이게 되는 ‘위안부 할머니’라는 상징만으로 그 질문들에 답할 수 있을까? 우리는 그동안 피해자의 증언에 착목해왔다. 더 많은 것을 말해주기를 요구해왔다. |
(아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