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 환자의 승마재활의 효용성 및 매커니즘 규명
환자와 동물(말)간의 상호작용 및 교감의 중요성 강조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김기선) 기계공학부 허필원 교수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 A&M 주립대학교의 Priscilla Lightsey 박사 연구팀과 함께 뇌성마비 환자의 보행재활을 위한 승마의 효용성 및 해당 매커니즘을 밝혔다.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 환아의 유병률은 소아 1000명당 3명꼴로 발생할 만큼 유병률이 높은 질병이다. 완치는 거의 불가능하나, 재활치료와 사교적 상호관계 등을 통해서 운동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스트 제공
ⓒ지스트 제공

뇌성마비를 가지는 유아의 대부분은 근긴장성(Spastic)으로, 비정상적인 근육의 긴장도로 인해 자세가 부자연스럽고, 보행 및 균형 등과 같은 기본적인 활동에도 어려움을 보인다. 최근 승마를 활용한 재활치료가 그 효용성을 점차 인정받고 있으나 구체적인 매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번 연구는 승마재활이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서 뇌성마비 환자들의 보행과 균형 능력을 항샹시키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승마재활은 뇌성마비 환자들의 보행 및 균형 능력을 항샹시킨다’, ‘승마재활은 환자와 동물(말) 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킨다’, ‘승마재활로 인한 환자와 동물(말) 간의 상호작용은 보행 및 균형 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다’를 기본 가설로 세웠다.

실험에 참가한 뇌성마비 환자들은 각각 8번의 승마재활치료를 받았으며 그 결과, 뇌성마비 환자들의 보행 및 균형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재활치료를 거듭할수록 뇌성마비 환자와 동물(말)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향상된 동기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승마재활의 효용성만 보고하던 기존 연구에 비해 이번 연구결과는 승마재활이 왜 효용성이 있는지 그 원인을 규명하였다. 특히 환자와 동물(말) 간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데이터화함에 그 의의가 있다.

허필원 지스트 교수는 “본 연구 성과는 사람과 동물(말) 간 물리적 상호작용과 나아가 감성적 공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뇌성마비 승마재활프로그램 및 관련기술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면서 “향후 뇌성마비 재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뇌성마비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스트 허필원 교수팀과 미국 텍사스 A&M 주립대학교의 Priscilla Lightsey 박사 연구팀이 함께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국의 Horses and Humans Research Foundation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재활분야 상위 5.15% 논문인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에 2021년 9월 6일 게재되었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