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순용 소령, 5.18묘지서 "오월영령께 천번 만번 사죄합니다"
"다른 (계엄군)군인들도 피해자들에게 용서를 구하길 바란다"
1980년 5.18 당시 계엄군 간부로서 21일 5.18묘지서 첫 참회
신 소령, 2016년 5.18재단 찾아와 '민간인 암매장' 진실 고백

1980년 5.18민중항쟁에 투입돼 광주시민을 학살한 계엄군 간부가 41년만에 5.18묘지를 찾아 사죄와 용서를 구했다.

1980년 5.18 당시 광주에 투입된 제3공수여단 11대대 지역대장(대위)이었던 신순용 전 소령(73)이 21일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5.18영령 앞에 무릎을 꿇고 고백과 사죄를 했다.

1980년 5.18민중항쟁 당시 계엄군으로 광주에 투입돼 민간인을 암매장했던 신순용(당시 3공수여단 11대대 지역대장(대위)) 전 소령이 계엄군 간부로서 41년만에 처음으로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5.18영령에게 큰절을 올리며 사죄하고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1980년 5.18민중항쟁 당시 계엄군으로 광주에 투입돼 민간인을 암매장했던 신순용(당시 3공수여단 11대대 지역대장(대위)) 전 소령이 계엄군 간부로서 41년만에 처음으로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5.18영령에게 큰절을 올리며 사죄하고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신 전 소령은 “늦게 찾아와 죄송합니다. 여러분들의 한이 풀릴 때까지 천번 만번 사죄하겠습니다. 늦어서 죄송합니다. 여러분의 한을 풀어드리기 위해 전력을 다하겠습니다. 광주시민에게 한을 맺히게 해 죄송스러운 마음뿐이다. 다른 군인들도 죄책감에 시달리지 말고 피해자들에게 용서를 구하길 바란다”며 41년만에 5.18영령과 광주시민에게 사죄하고 다른 군인들도 진상규명에 함께 할 것을 다짐했다.

신 전 소령은 이날 5.18계엄군 간부로서는 처음으로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단에 헌화한 후 큰절을 올리고 5.18영령들과 희생자들에게 사죄했다.

5.18 당시 21~24일 광주교도소 정문 경계 임무를 맡았던 신 전 소령은 계엄군의 사격으로 사망한 희생자 중 고 고규석. 서만오 유공자의 묘비를 찾아 "제가 죄인입니다"고 거듭 사죄한 후 용서를 구했다.

신 전 소령은 지난 2016년 5.18기념재단과 5.18단체가 광주교도소 민간인 암매장을 찾는다는 소식을 접하고 자발적으로 5.18재단을 찾아와 암매장 진실찾기에 협조한 바 있다. 특히 3명의 희생자를 당시 광주교도소 앞 야산(현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동 농산물공판장)에 이들을 직접 암매장했다는 고백을 하기도 했다.

신순용 전 소령(5.18 당시 계엄군 3공수여단 11대대 지역대장)이 21일 5.18 당시 광주교도소 주변에서 계엄군 사격으로 사망한 서만오 희생자의 묘비를 어루만지며 사죄하고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신순용 전 소령(5.18 당시 계엄군 3공수여단 11대대 지역대장)이 21일 5.18 당시 광주교도소 주변에서 계엄군 사격으로 사망한 서만오 희생자의 묘비를 어루만지며 사죄하고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또 신 소령은 15대대 공수부대원들이 교도소 남쪽에 12~15구를, 북쪽 담장에 10여구를 암매장한 장면을 목격한 사실을 증언한 바 있다.
   
5.18 묘지에서 참회와 용서를 구한 신 전 소령은 "40년이 넘도록 왜곡된 진실 탓에 고통을 받는 피해자들을 위해 광주를 찾았다"며 "아직도 피해자들이 (사실) 왜곡으로 고통을 받는 모습에 마음 아파 광주를 방문했다”고 말했다.

이어 “5·18 당시 군인이 먼저 총을 쐈기 때문에 광주시민이 고향과 가족을 지키기 위해 무장했다. 군인으로서 떳떳하지 못하게 행동했던 점을 사죄한다”며 “내가 쏜 총에 맞아 상처를 입은 시민을 찾고 싶다. 나 자신뿐 아니라 군의 잘못에 용서를 빌고 싶다”고 거듭 사죄했다.

신 전 소령은 5.18 당시 소방차에 탄 시민들을 향해 자신의 부하가 사격해 1명이 부상 당하고 나머지 시민들이 놀라 도망한 사실이 있다며 당시 부상자와 시민들을 찾아 뵈고 사죄하고 싶다고 말했다.    

국립5.18민주묘지와 망월동 옛 5.18묘지(현 민족민주열사묘역) 참배를 마친 신 전 소령은 “광주시민에게 한을 맺히게 해 죄송스러운 마음뿐이다. 다른 군인들도 죄책감에 시달리지 말고 피해자들에게 용서를 구하길 바란다”고 5.18진상규명에 다른 동료 군인들의 참회와 고백을 촉구했다.

1980년 5.18민중항쟁 당시 3공수여단 11대대 지역대장(대위)으로 광주에 투입돼 광주교도소 정문 경계 중에 민간인 3명을 야산에 직접 암매장한 신순용 전 소령이 21일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계엄군 간부로서는 처음으로 5.18영령들에게 사죄하고 용서를 구하는 큰절을 올리고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1980년 5.18민중항쟁 당시 3공수여단 11대대 지역대장(대위)으로 광주에 투입돼 광주교도소 정문 경계 중에 민간인 3명을 야산에 직접 암매장한 신순용 전 소령이 21일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계엄군 간부로서는 처음으로 5.18영령들에게 사죄하고 용서를 구하는 큰절을 올리고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신순용 전 소령이 21일 국립5.18민주묘지 참배단에 헌화하고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신순용 전 소령이 21일 국립5.18민주묘지 참배단에 헌화하고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5.18기념재단 제공
21일 신순용 전 소령이 5.18당시 광주교도소 주변에서 계엄군의 사격에 희생당한 고규석 유공자의 묘에 사죄의 큰절을 올리고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이날 신 전 소령과 5.18묘지를 동행한 김영훈 5.18유족회장은 "신 전 소령의 용기있는 고백에 유족을 대표해서 감사를 드린다. 신 전 소령도 가해자 이전에 피해자다. 40년 동안 큰 고통과 트라우마에 시달렸을 것"이라며 "당시 계엄군 간부로서 첫 사죄와 고백을 한 용기에 감사하다"고 말했다.

김 유족회장은 "이번 신 전 소령의 고백을 시작으로 더 많은 당시 계엄군들의 참회와 증언이 이어지는 첫 단추가 끼워진 것"이라며 "41년째 가족을 찾지 못하고 있는 5.18유족의 한을 풀고 암매장 발굴과 5.18 진상규명이 하루라도 빨리 이뤄지는데 용기를 내달라"고 말했다.      

끝으로 김 회장은 "신 전 소령과 광주교도소 희생자 중 한 명인 서만오 씨 가족과 만남을 주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신 전 소령은 정동년 5.18기념재단 이사장과 윤목현 광주광역시 민주인권평화국장을 만나 앞으로도 5.18진상규명에 앞장설 것을 약속한 후 광주를 떠났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