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의원회 위상과 역할은 구성원 각성과 참여가 관건”

대학운영 민주화의 핵심 기구인 평의원회의 위상 강화와 역할 확대는 학생 직원 교수의 민주시민의식 각성과 적극적 참여에 달려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또한 학내 각 자치기구가 관성적으로 진행돼온 대학운영에 문제를 제기하고 평의원회를 통해 적극적 대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절실하다는 공감대가 이뤄졌다.

이런 주장은 전남대 교수회(회장 이근배)와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전남대 분회(회장 염민호)가 지난 9월 28일 공동 주최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공통적으로 인정한 내용이다.
 

지난 9월 28일 전남대 민교협 8번째 사랑방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전남대학교 제공

30여 명의 학생 직원 교수 등이 참석한 이날 토론회는 김태훈 교수(인문대 불문과, 민교협 전남대 분회 총무)의 진행으로 90분 동안 평의원회 역사, 역할, 기대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했다.

발제를 맡은 김영철 교수(전 교수회장/평의원회 의장)는 자신의 경험을 근거로 현재의 대학운영을 위기 상황으로 규정했다. 김 교수는 “지난 9년 동안 대학은 신자유주의에 근거한 대학정책에 길들여지고 무디어졌다”며 대학지도부와 교수진의 무관심과 무능력을 비판했다.

김 교수는 “새 정부의 고등교육 정책이 변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지도부는 선도적 역할을 못한 채 여전히 관성에 젖어 있다. 대학의 홈피는 1등 2등을 부각하는 순위만 나열하고 있으며, 교수진 또한 자기 각성에 근거한 내부개혁에 무관심하다”고 질타했다.

김호균 교수(사회대 행정학과, 평의원회 부의장)는 “대학의 조직 구조가 여전히 관료제 틀에 맞춰져 학생, 직원 교수를 존중하는 민주의식이 결여돼 있다”며 “민주화의 성지인 전남대학교에서 선도적으로 대학교육의 공공성을 확장하는 전향적 노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호진 씨(전남대 공무원직장협의회 사무국장)는 “그 동안 대학운영에서 비판받았던 제왕적 총장에 대한 견제는 평의원회의 위상과 역할 강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한선미 씨(전국대학노조전남대지부 부지부장)는 “현재의 평의원회 구성에서 직원 참여는 형식적인 구색 맞추기에 불과하다. 적절한 수준의 참여 비율 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원태 씨(전남대 조교협의회장)는 “평의원회 위상 강화가 누구를 위한 것이냐.”고 문제를 제기한 뒤 “좋은 평의원회는 그 동안 소외받고 인정받지 못하는 구성원들에게 권력을 이동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중렬 교수(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전남대 분회장)는 “대학에서 시간 강사는 유령같은 존재로 그 역할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며 “대학교육에 기여하는 비정규교수들에 대한 고민과 인정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호소했다.

또한 박교수는 “평의원회라는 명칭에 맞게 대학구성원의 고른 참여와 존중이 전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청중으로 참여한 문효인(인문대 철학과 1년) 학생은 남성 위주의 토론자 구성과 대학운영을 지적한 뒤 “대학 내에서의 젠더 의식 배양과 민주주의 실천에 대한 적극적 태도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민교협 공동의장인 노봉남 교수(공과대 전자컴퓨터 공학부)는 “대학 운영의 민주화는 기존의 틀을 깨는 파격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현 평의원회는 이름에 걸맞는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기존의 총장들은 권력을 가지는 순간 자신들의 공약을 잊어버리고 자신의 말을 법으로 착각하는 오류를 범했다”며 대학 구성원들의 대학운영에 대한 적극적 발언과 참여를 제안했다. 이무성 교수(전 광주대 산업기술경영학부)는 “한국의 사립대학은 내부의 폐쇄구조로 인해 비판적 발언도 못하면서 절망만 하고 있다.

신임교수는 대학운영에 순응자만 선발한다.”며 “대학의 개혁과 대학교육의 참된 역할 수행에 국립대인 전남대가 선도적으로 앞서 나가 줄 것.”을 요구했다.

전남대 민교협은 2016년부터 위기에 처한 한국 대학의 위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미래지향적인 대학공동체 건설과 사회민주화를 위한 교수의 역할을 대학 내 구성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사랑방 형식의 정기적인 토론회를 개최해오고 있다.

민교협은 앞으로도 사랑방을 통해 대학 내의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공론의 장을 마련, 토론과 검증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대학문화 건설에 기여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