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 21일 성명 발표

성명서 [전문]

“영광한빛 격납고 철판부식에 대한 한수원의 대처,
구멍뚫린 안전, 부식된 안전을 보여준다.”

- 핵발전소 안전관리 재검토하라.
-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핵발전소는 당장 멈춰야 한다.

영광 한빛핵발전소 1·2호기에 이어 4호기의 격납건물 철판에서도 부식 현상이 발견됐다. 지난해 밝혀진 원자로 라이너 플레이트 (이하 CLP, Containment Liner Plate, 격납건물 라이너플레이트) 부식 문제에 대한 원인이 1년이 되도록 제대로 규명되지 않는 상황에서 4호기에서 CLP 부식이 밝혀진 것이다.

우리는 한빛 핵발전소 안전에 대한 불안과 의심을 감출 수 없다.

탈핵희망국토순례단과 핵없는 세상 광주전남행동이 지난 1월 13일 광주시청 앞에서 '핵 없는 에너지 도시로 전환'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핵없는 세상 광주전남행동 제공

후쿠시마 핵발전소 재앙이 일어났을 때 한국 핵발전소는 안전하다고 한수원이 주장했던 근거인 5중 방호체계 중 4번째 방호체계인 CLP에서 부식이 발견된 것이다. 이는 방사능 외부 누출 차단에 구멍이 뚫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6월 한빛2호기 정기점검 중 CLP와 외부 콘크리트 경계면에서 부식이 확인되었다. 부식은 135곳에서 발견되었고 이 중 상당수는 허용기준을 초과, 구멍이 뚫린 곳도 발견되었다. 이어 10월에는 한빛1호기에서도 50곳이 부식이 발견, 심한 곳에서는 철판이 2.53mm까지 얇아져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문제는 한빛핵발전소에 머물지 않았다. 11월에는 한울1호기에서, 2017년 2월에는 고리3호기에서 동일한 부식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번에는 한빛 4호기다. 지난 15일 한국수력원자력 한빛원자력본부는 한빛 4호기 격납건물 철판의 상부 원형 돔과 하부의 경계인 높이 68m 지점에서 부식 현상이 있다고 밝혔다. 점검 결과 일부 철판의 두께가 설계두께(6mm)의 90%인 5.4mm(관리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부위가 13곳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는 한국수력원자력의 안이한 대응, 도덕적 해이감에 핵발전소의 안전을 맡겨둘 수 없다.

그 동안 실시되어 온 여러 차례 정기 점검 기간 중에 CLP 검사가 제대로 실시되었는지 의문이다. 접근이 힘들어서 부식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한수원의 입장은 접근이 힘든 곳은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는 말과 같다.

또한 한빛2호기 CLP 부식이 발견된 이후 철저한 원인규명이 없었다. 지난 3월 원자력안전위원회 보고에서 영광 2호기를 비롯해, 발전소 공사중 CLP의 외부 노출 기간이 많아 수분과 염분으로 부식이 진행된 것이라 했다. 그러나 공사중 노출기간이 다르고, 노형이 다른 핵발전소의 부식에 대해 한수원은 아직까지 납득할 만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도덕적 문제도 있다. 지난 4월 24일, 한수원 영광본부장은 지역 주민 면담자리에서 4호기는 철판 부식이 아닌 녹이라며, 진실을 감추었다.

19일 문재인 대통령은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선포식에서 핵발전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구축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 경제 지상주의가 낳은 핵발전 중심의 에너지 공급구조에서 사람과 환경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에너지 구조로 전환할 것을 발표했다. 동시에 현재 가동 중인 기존 핵발전소 운영에 대한 안전성 확보와 투명성 강화를 약속했다. 이 약속의 실행은 한수원의 구태를 벗겨내는 핵발전소 안전관리 재검토부터 시작되어야할 것이다.

우리는 한국수력원자력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CLP부식 문제에 대한 철저하게 원인을 규명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핵발전소는 당장 멈춰야 한다. 영광핵발전소 뿐만 아니라 전국의 모든 핵발전소의 안전성과 투명성 확보를 요구한다.

2017년 6월 21일

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
대표 황대권, 박선화, 효진스님,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