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개발 최소화…역사·경관·환경 관점에서 봐야
 
광주 서구 농성동 상록회관 부지에 아파트 건설이 구체화하고 있는 가운데 광주 환경단체가 광주시 차원의 녹지 보전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 환경운동연합은 8일 성명을 통해 “상록회관 부지의 아파트 개발을 최소화하고 역사·경관·환경적 관점에서 보전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래 성명 전문 참조)

▲ 환경단체와 시민들이 상록회관 부지에 아파트 건립을 반대하고 녹색공원으로 보존을 촉구하고 있다. ⓒ광주환경운동연합

환경련은 “상록회관 부지 개발 계획에 기부채납을 통한 일부 벚나무 군락지 보전 등이 제시돼 있지만 상당한 녹지 훼손과 고층건물로 인한 경관 문제 등은 고스란히 안고 있다”며 이 같이 강조했다.

환경련은 “도심에 벚나무를 비롯한 소나무 군락 등 숲이 조성돼 있어 지역의 명소이자 시민들의 쉼터역할을 해왔던 터가 사라질 위기에 있다”고 지적했다.

또 “상록회관은 역사적으로도 옛도지사공관(현 상록미술관)과 인근 옛 안기부터, 국군통합병원 기무부대 부지와 연계해 1980년 당시의 역사 흔적이 남아 있는 곳으로 광주 현대 역사를 더듬어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공공건물 이전 부지에 대한 광주시의 부실한 대책을 꼬집었다.

환경련은 “공무원공단은 부지 매각 당시 광주시에 매입 우선권 혹은 매각에 대해 협의할 것을 약속했다”며 “하지만 상록회관터가 민간에 매각됐을 때 개발이 불 보듯 뻔한 데도 광주시는 공무원공단의 매입요청을 거절했다”며 시의 대응에 대해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 단체는 “공공건물 이전 부지나 공적 의미가 있는 공간에 대한 광주시의 적극적인 대책과 대응이 있어야 한다”며 “보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광주시는 이날 오후 상록회관 부지 아파트 추진을 위해 용도지역 종상향이 포함된 지구단위계획 자문안에 대한 시 도시계획위원회 회의를 연다.

상록회관 부지, 일부 기부채납으로는 보전 대책이 될 수 없어

아파트 개발을 최소화하고 역사, 경관, 환경적 관점에서 보전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 벚나무숲 등 녹지가 조성되어 도심의 명소였던 상록회관 부지, 광주시의 뒤늦은 대처로 보전이 아닌 개발사업 추진 중. 역사, 경관, 도시환경 측면의 중요 부지나 공간에 대한 대책이 없는 셈

- 일부 기부채납이 보전 대책이 될 수 없어. 아파트 개발을 최소화하고 가능한 보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광주 서구 농성동 상록회관 부지에 아파트 건설이 구체화 되고 있다. 아파트 추진을 위해 용도지역 종상향이 포함된 지구단위계획 자문안에 대한 광주광역시 도시계획위원회 회의가 오늘 오후 4시에 열린다. 기부채납을 통한 일부 벚나무 군락지 보전 등이 제시되어 있지만, 상당한 녹지 훼손과 고층건물로 인한 경관 문제 등은 고스란히 안고 있다.

도심에 벚나무를 비롯한 소나무 군락 등 숲이 조성되어 있어 지역의 명소이자 시민들의 쉼터역할을 해왔던 터가 사라질 위기에 있는 것이다. 역사적으로도 구 도지사공관(현 상록미술관) 그리고 인근 구 안기부 터, 국군통합병원 기무부대 부지와 연계되어 1980년 당 시대의 역사 흔적이 남아 있는 곳으로 광주 현대 역사를 더듬어 볼수 있는 곳이다.

이렇듯 안타까운 것은 공공건물 이전부지에 대한 광주시의 부실한 대책이다.

광주시가 공무원연금공단으로부터 상록회관 부지를 매입하여 종합적인 보전대책 마련과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할 것을 기대 했으나, 해당부지가 민간업체로 이전 되어 아파트개발을 앞두고 있는 것이다.

2003년 구 도지사공관 및 터를 광주시가 공무원공단으로 매입하여 공원으로 지정하던 당시에 광주시와 공무원공단은 남은 상록회관 부지에 대해서도 협의를 했다고 한다. 부지 매각을 할 시에 광주시에 매입 우선권 혹은 매각에 대해 협의할 것을 약속을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근래 상록회관 및 터 매각 과정에, 민간에 매각되었을 때 개발이 불보듯 뻔한데도, 광주시는 공무원공단의 매입요청을 거절하는 등 매각 전후 과정에서의 광주시 대응은 아쉽기만 하다.

공공건물 이적 부지나 공적 의미가 있는 공간에 대한 광주시의 적극적인 대책과 대응이 있어야 한다. 당장, 상록회관 부지의 아파트 개발을 최소화하고 가능한 역사, 경관, 환경적 관점에서 보전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2015. 10. 8

광주환경운동연합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