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문화부, 최종안 놓고 이견 '팽팽'

7일 오후, 문화부, 광주 동구민 대상 옛 전남도청 최종안 설명회 개최
이병훈 추진단장 "이념적 접근 안돼... 문화와 감동으로 5.18 알려야"

옛 전남도청 별관문제를 두고 문화부가 '최종안'을 주민들에게 직접 설명하는 등 '동계 공세'를 취하고 있다. 

“지난 30년간의 과거 지향적이던 틀에서 벗어나 미래에 투자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이념적 접근만으로는 안 된다. 문화로, 감동으로 세계인에게 5.18과 광주를 알려야 한다.”

지난 7일 오후 광주 서석동 동구청에서 열린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 설명회’에서 이병훈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장이 "옛 전남도청 별관 보존 문제로 인한 공사지연은 없을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지난 7일 광주 동구청에서 열린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 설명회'에서 이병훈 문화부 추진단장이 옛 전남도청 별관 보존에 관한 최종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광주인

700여명이 장내를 가득 메운 가운데 열린 이날 설명회에서 이 단장은 지난달 23일 최종안을 꺼내놓은 옛 전남도청 별관 보존에 대해 “별관 문제로 인해 너무 많은 시간을 잃어버렸다. 더 이상은 안 된다”고 못 박았다.

이 단장은 “그간 광주는 너무 과거의 틀에 얽매여 있었다”며 “(옛 전남도청 별관 문제로) 지지부진 했던 문화전당 사업으로 인해 동구민이 마음고생 많았다”고 말해 광주시, 문광부, 시도민대책위 등 아직도 현저한 의견차이를 보이고 있는 별관 보존 논란에 대해 '종지부'를 찍었다.

또 이 단장은 별관 보존 논란 과정에서 광주전남 시도민과의 '소통'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의식한 듯  “대표성이 쟁점이라고 본다.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서쪽 지방에는 굉장히 많은 시민단체, 언론이 있다. 광주에 있는 600여개의 단체들에 대해서 대표성을 인정해야 되느냐가 문제 인데, 대표성이 없는 단체와 일일이 소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주민대표인 광주 시장과 협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단장은 또한 “당초 설계는 별관은 철거 대상이었다. 이 후 많은 담론을 거쳐 차선책이라도 택하자는 입장에서 부분 보존을 선택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 이병훈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장. ⓒ광주인


이 단장은 “지난 2009년 2월 5월단체의  (옛 전남도청에서)점거농성 당시 광주를 위해서 별관을 양보하고 원 설계로 가자는 뜻으로 해결이 됐지만, 이후 바로 다른 단체가 농성을 벌였다”며 “그때가 가장 좋았지”라며 우스갯소리를 던지기도 했다.

이러한 이 단장의 발언에 대해 이날 설명회가 끝난 후 질의응답 과정에서 자신을 조선대 학생이라고 밝힌 한 청중은 “마치 문화전당 건립에 옛 전남도청 별관과 이를 보존하자는 사람들이 큰 걸림돌이 된 것 처럼 말하는 것은 잘못됐다”라고 지적을 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성황리에 열린 동구주민 설명회를 앞두고 동구청 일부 간부들이 “7일 오전 열린 간부회의에서 지리적으로 가까운 서남동, 충장동 각 100명 나머지 동은 60명씩 할당을 내린 것"으로 알려져 관재동원논란도 일고 있다. 

이에 대해 동구청 일부 관계자와 일부 주민들은 “관에서 인원을 충당하기 위해 동원을 했으면 7-80대 어르신이 많았을 것인데 이날 설명회는 그렇지 않았다”며 이는 주민들이 문화전당에 대한 관심이 높아 자발적인 참여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박선규 문화부 2차관은 <광주방송> 토론회에서 강운태 시장과 옛 전남도청 별관 공간활용 문제 등을 놓고 불가와 활용으로 나뉘어 날선 대립을 보이기도 했다.

강 시장은 별관 54m 중 30m 원형 보존 공간을 사람들이 왕래할 수 있도록 활용해야한다는 입장을, 박 차관은 "안전상 불가" 입장을 개진한 것.  따라서 강 시장이 지난해 12월 30일 담화문 형식으로 발표한 '광주시의 문화부 최종안 수용' 입장은 사실상 '조건부 수용'으로 성격이 확연히 드러나게 됐다.

강 시장은 문화부 최종안인 '강구조물'에 대해 담화문에서  "△본관과 별관 6m 공간 이음 필요 △강구조물 외부형 디자인 고려 △30m 원형보존 공간 활용 상설화" 등을 조건으로 내건 바 있다.

이처럼 엣 전남도청 별관보존 문제는 문화부의 '강구조물 최종안', 시도민대책위의 '오월의 문', 광주시의 '조건부 최종안 수용' 으로 나뉘게 됐다. 이런 가운데 문화부 안을 성급하게 "수용"한 강 시장의 정치적 입지도 좁아질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또 문화부의 이른바 '동계 공세'를 시작으로 예상되는 대대적인 별관 최종안 홍보 및 행정적 절차에 대해 시도민대책위가 어떤 대응책을 강구할 지 주목된다. 이미 시도민대책위는 대시민 직접 소통과 조직개편 등을 내놓고 있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