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통제도, 비판기사 차단도 아닙니다”
광산구 ‘취재지원 개선방안’에 대한 오해와 이해


*아래 글은 최근 광주 광산구가 내놓은 ‘취재지원 개선 방안’ 논란에 대해 최효준 공보팀장이 보도자료 형식으로 작성한 글을 전재한 것입니다. / 광주인 

광주 광산구(구청장 민형배)는 4일 전체 직원 회의를 갖고 ‘취재지원 개선방안’(이하 개선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달 27일 발표한 개선안이 ‘공보팀을 통한 언론통제’라는 일부의 오해와 의혹이 확산된데 따라 이에 대한 정확한 입장을 정리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개선안의 주요 내용은 △사전약속 취재 △정보제공 공보팀으로 일원화 △정례브리핑 제도 운영 △시민기자와 주민에게도 동등한 취재지원 등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광산구 공보팀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1쪽짜리 요약본과 3쪽에 달하는 개선안 원문을 지난달 27일 각 언론사에 보도자료로 배포했습니다.

곧바로 관련 기사들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기사들은 한 결 같이 비판적이었는데 크게 네 가지를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취재접근권통제, 정보통제, 언론환경 파괴, 비판기사 차단 등입니다.

말들은 조금씩 다르지만 언론사들의 문제제기는 ‘언론통제를 통한 비판기사 차단’으로 요약됩니다.

우선 광산구는 ‘언론통제를 통한 비판기사 차단’의 의도가 전혀 없음을 밝힙니다. 그럴 의도가 있었다면 ‘시민기자와 주민에게도 동등한 취재지원’과 같은 항목을 넣지 않았을 것입니다.

‘언론통제를 통한 비판기사 차단’ 의도 전혀 없습니다

의도는 없다 하더라도 오해는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예컨대 △사전약속 취재나 △정보제공 공보팀으로 일원화 같은 항목은 듣기에 따라 ‘통제’로 해석될 여지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통제할 의도는 전혀 없습니다. 사전약속취재의 목적은 공무원들이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자는 게 주요 목적이었습니다.

아무런 준비나 시간 낼 틈이 없음에도 불쑥 찾아온 기자들에 의해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들이 광산구에서는 적지 않게 벌어졌었습니다. 이 점은 광산구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언론환경입니다. 이 부분에 대한 이해를 일선 기자들이 고려해 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정보제공 공보팀 일원화는 충분히 오독의 소지가 있는 말로 보도자료가 나간 이후 내부에서도 반성이 있었습니다.

본래 이 개선안의 의도는 자료의 수준을 높이고, 취재와 관련해서 올바르게 이야기할 수 있는 부서나 실무자에게 정확히 취재기자를 연결시키겠다는 의도였습니다. 공보팀을 통해 취재지원을 충분히, 그리고 확실히 받을 수 있다는 게 ‘정보제공 공보팀 일원화’의 본래 취지였던 것입니다.

취재지원은 홍보 기사냐, 비판 기사냐를 상관하지 않습니다

전화통화 등을 통해 미리 약속한다면 어느 부서를 어떻게 취재하던지 크게 어려움은 없을 것입니다. 그렇더라도 공조직의 특성상 해당 부서는 공보팀에 늘 협조를 요구합니다.

최초 취재의 출발이 어디이던지 간에 결과적으로 비슷한 시간이 들더라는 것이 저희들의 경험이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공보팀의 소개와 조정이 없을 경우 취재에 익숙하지 않는 부서에서 엉뚱한 답변, 소용이 되지 않는 자료를 내 놓아 더 많은 시간이 걸리는 사례도 보았습니다.

정보제공 공보팀 일원화는 취재지원의 ‘전문적 허브’ 역할을 공보팀이 하겠다는 의지였습니다. 취재 목적이 광산구를 홍보이든, 비판이든, 그런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비판적인 의도로 취재를 하더라도 저희들은 취재활동에 충분한 도움을 드릴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정례브리핑 제도 운영 △시민기자와 주민에게도 동등한 취재지원, 이 두 항목에 대해 관심을 가져달라는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알권리가 언론의 핵심기능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두 항목은 광산구가 앞장서서 구정을 알리겠다는 것이고, 또 이런 저런 목적에 따라 광산구정에 대해 알고자 하는 분들이 있을 경우 그 신분 여하에 상관없이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하겠다는 것입니다.

광산구는 어느 지자체보다 언론의 소중히 여기고 있다고 자부합니다. 광산구를 다루는 보도는 물론,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라 할지라도 자치행정에 도움이 될만한 꼭지라면 스크랩해서 검토하고, 토의합니다.

그렇게 해서 좋은 지적과 사례들이 나오면 구정에 꼭 반영합니다. 언론에 대한 믿음, 언론의 순기능을 잘 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일 것입니다.

다만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것은 공직사회와 언론의 관계가 건강하지 않았던 지난 시절의 ‘관행’들이 남아 있다는 사실입니다. 개선안은 그 관행을 고치고자 언론과 공직사회 양쪽에 적용코자 하는 시도입니다.

말이 복잡해진 것 같습니다. 분명한 것은 언론과 공무가 각자 선 자리에서, 서로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고, 지켜야 할 윤리를 지키면서 제 역할을 하자는 것이 개선안의 참 목적이라는 점입니다.

어쨌거나 문자의 엄중함과 미묘함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해 생겨난 문제들은 온전히 광산구 공보팀의 몫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광산구가 의욕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개선안의 본뜻이 조금이라도 잘 전달되었으면 바람을 가져봅니다. 감사합니다. 2010년 10월 4일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