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태호 KIST 교수 “어뢰 추진체 후면 온도 0.1℃도 오르지 않는다”주장
“추진체 외부의 페인트가 다 녹아버렸는데 매직은 지워지지 않는다?”의문제기


국방부는 2일 브리핑을 통해 송태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교수 최근 작성한 논문을 근거로 "어뢰 폭발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고온상태는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며 논란이 되고 있는 “어뢰 추진체 후면의 ‘1번’ 글씨의 온전한 보존상태는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디어오늘>은 2일 보도를 통해 국방부가 송 교수의 논문을 통해 "버블이 단열 팽창하면서 급격히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폭발 후 0.05초 후에는 도장 면에 열 손상을 일으킬 수 없는 약 130℃의 온도로 급속히 냉각되고 0.1초가 지나면 28℃까지 내려간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송 교수는 브리핑에서 "폭약의 양을 늘리고 탄두에서 디스크까지 거리를 좁히는 등 극단적인 경우를 가정해도 어뢰 추진부 온도는 20℃ 이내로 상승한다는 계산이 나와 페인트 또는 그 위의 글씨가 열 손상을 입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 송태호 교수의 프리젠테이션 자료 중 일부 ⓒ미디어오늘 발췌

그러나 송 교수의 주장은 이승헌 미국 버지니아대 물리학 교수 등이 "250kg의 폭약이 터질 경우 추진체 후부의 온도는 350℃ 혹은 1000℃ 이상까지 올라간다"고 주장한 것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어뢰 추진체 외부의 유성 페인트가 전부 타버린 상황에서 어떻게 매직 글씨만 날아가지 않는지 여전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 교수 등은 "'1번' 글씨와 외부 부식은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며 “유성 페인트의 비등점이 최소 325℃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현상이다”고 주장했고 국방부와 합조단은 아직까지 이에 대해 과학적인 해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천안함 사고의 ‘1번 어뢰’는 진실을 가려내지 못한 채 여러 과학자들의 논리싸움으로까지 번지고 있는 양상이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