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룡의 미디어창]뉴스통신진흥회 새 이사 및 이사장 선임에 앞서

연합뉴스가 새로운 시험대에 들어서고 있다. 국가기간통신사 지정 한시법 시한이 내년으로 다가왔고 연합뉴스의 사장추천권한과 예· 결산을 승인하는 최고 경영기관 역할을 하는 뉴스통신진흥회의 새로운 이사 및 이사장 선임이 이달 말로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연합뉴스와 같은 종합정보서비스 뉴스통신사(News Agency)는 신문사와 방송사를 회원사로 뉴스와 정보를 서비스하기 때문에 영향력이 막강하다. 그러나 일반 시민의 입장에서는 뉴스의 도매상 역할에 그치는 통신사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 잘 모르는 편이다.

AP, Reuters, AFP 같은 세계적 통신사는 세계의 정보 흐름을 좌지우지하고 있다. 미국의 CNN, FOX 뉴스같은 영상매체의 등장으로 뉴스와 정보의 독점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서방세계에서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일방적 정보흐름에 따른 뉴스의 독점화, 문화의 식민지화는 개선되기는커녕 더욱 악화되는 구조를 고착시켜가고 있다. 21세기 각국의 정보주권 수호는 자본력과 기술이 뒷받침 되지 않아 헛구호로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외적으로는 ‘정보주권을 수호한다‘는 차원에서 내적으로는 ‘우리의 시각으로 세계를 본다’는 취지로 연합뉴스의 국가기간통신사 지정은 설득력을 얻었다. 또한 OECD 회원국의 입장에서 경제규모와 발전에 걸맞는 통신사의 필요성에 대해 대체적인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연합뉴스는 한시적이나마 국가적 차원에서 ‘외신베끼기를 중단시키고 정보주권의 첨병 역할’을 하라는 지상명령을 받고 국가기간통신사로 다시 태어났다.

2003년 5월에 제정된 ‘뉴스통신진흥에관한법률’에 따라 국가기간뉴스통신사로 지정된 연합뉴스는 국내외 취재망을 확충하며 정보주권 수호, 정보격차 해소 및 국민의 알권리 충족 등 국가기간뉴스통신사로서의 책무를 나름대로 충실히 수행해왔다.

그러나 연합뉴스 구성원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2008년 10월 제2기 뉴스통신진흥회의 구성을 두고 불안한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일부 언론에서는 지난 대선당시 이명박 후보 캠프에서 언론특보를 지낸 최규철씨가 차기 이사장으로 거론되고 있다. 단순히 소문으로만 나도는 정도가 아니라 10월 17일 민주당 최문순 의원실에서는 ‘낙하산 인사를 경계한다’는 논평을 내기도 했다.

논평의 핵심은 ‘이사장을 포함한 이사는 모두 7명으로 오는 23일 임기가 만료’되는데 흉흉한 소문이 나돈다는 것이다. 이 논평은 최규철 후보를 거명하며 “뉴스통신진흥회는 당연히 연합뉴스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인물들로 구성돼야 한다”며 “YTN 사태, KBS 사태를 겪으면서 ‘소문이 곧 현실이 된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에 허투로 듣고 흘리기 어렵다”는 것이다.

아직 누가 차기 뉴스통신진흥회 이사장과 이사가 될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분명히 해야 할 것이 하나 있다. 연합뉴스를 국가기간통신사로 한시법을 통과시킬 때 절대 전제조건은 정치적 중립성의 확보였다.

뉴스통신진흥회는 연합뉴스의 최대주주(지분율 30.77%)로, 연합뉴스의 경영을 감독하는 한편 사장 추천권도 쥐고 있을만큼 최고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영기구인 셈이다. 1기 이사진들도 밀실에서 원칙도 기준도 없이 선정돼 언론계내외의 논란을 가져왔다. 제2기에서는 아예 대선캠프 인사가 이사장으로 온다는 전망과 야당의 논평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연합뉴스의 정치적 중립성을 존중한다면 정치권 인사의 낙하산 사태는 용납될 수 없다. 그런식이라면 국가기간통신사 지정 논리도 당위성도 사라지게 된다. 연합뉴스의 정치적 편향성이나 불공정성 등을 감시, 견제, 보호해야 할 뉴스통신진흥회 이사장에 대선캠프인사가 온다는 것은 정치적 오해의 소지를 스스로 제공하는 격이다.

뉴스통신진흥회는 ‘정관’에 의거해 이사장을 포함한 이사 7명을 임원으로 두고 있으며, 이사는 △대통령이 2명 △국회의장이 각 교섭단체의 대표의원과 협의한 3명 △한국신문협회와 한국방송협회가 각각 1명씩 추천하며 대통령이 임명한다고 한다.

누가 임명되든간에 투명한 절차와 그런 인사가 추천될 수 밖에 없는 당위성과 전문성 등이 검증돼야 한다. 이런 과정이 무시되는 사회는 선진화가 될 수 없다. 연합뉴스의 사활이 걸린 중대한 문제가 너무 쉽게 그 흔한 토론회 한번없이 결정될 때 치러야 할 사회적 비용과 손실은 너무 크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