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1차 협상 갖고 2주1회 면담. 평화기간 설정 등 3개항 합의
노동차측 ‘고공농성 설득 해제’ 합의 문구 놓고 ‘내부논의 중’
로케트 전기 해고노동자 복직문제를 놓고 노동자측와 회사측이 머리를 맞댄 결과 대화창구 상설화 등 합의하면서 ‘협상’이 가동되었다.
9일 오전 광주시 금남로 광주지방노동청 광주종합고용안정지원센터 10층 소회의실에서 만난 회사측과 노동자측은 2시간여에 걸친 협상 끝에 △평화기간 설정하여 비방 및 선전 자제 △대화창구 상설화 가동(2주1회 면담) △해고노동자 고공농성 최대한 설득하여 해산토록한다는 3가지 안에 합의 서명했다.
이날 광주지방노동청측의 주선으로 1년여 만에 마주한 노사측은 2시간여에 걸친 협의 끝에 이 같은 3개항의 합의안을 도출했으나, 해고노동자측과 민주노총은 ‘고공농성자 설득 해산’이라는 합의 항에 대해 일부 이견이 발생하여 오후 2시 현재 내부논의 중에 있다. 따라서 이날 오전 3개의 합의안은 논의결과에 따라 수용여부가 최종 결정 될 것으로 보인다.

안 공장장은 또 “만약 합의가 안될 경우 지역사회에서 시민단체 또는 언론 등 객관성을 지난 단체에서 공동협의체를 구성하여 합리적으로 합의점을 찾아갔으면 좋겠다”는 입장도 피력했다.
이어 안 공장장은 “그룹차원 경영진에 보고하고 있으나, 이 사안(해고문제)에 대해서는 공장장 책임자인 제가 전적으로 고민하고 맡아서 하고 있다”며 일부 언론이 일방적인 보도를 하고 있다고 불만을 강하게 표출하기도 했다.
이날 1차 협상은 조고익 광주지방노동청 노사지원과장이 중재 및 사회역할을 맡아 협의를 이끌었으며, 협의에는 해고 노동자측 3명, 회사측 3명과 광주시청 고용안정과, 광주북부경찰서 담당자 등이 배석했다.
중재를 맡았던 조 과장은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로케트 고공농성 현안은 중앙부서에 매일 보고 하는 등 중요현안으로 다루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협상에 배석했던 광주시 관계자들은 “광역단체가 할 수 있는 행정적 권한이 거의 없어 회사측과 노동청 등 유관기관 등에 협조를 요청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며 “진행 상황도 매일 시장에게 보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보고를 받은 후 박 시장이 지시한 내용여부에 대해서는 입장을 내놓지 못했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