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우리밀 소비 활성화로 국제곡물가격 상승에 대처하자!
           천익출 한국우리밀농업협동조합 상임이사

최근 지속적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국제 곡물가격은 그 상승의 끝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이와 함께 유가의 상승은 지구촌 공동체를 불안과 생존의 벼랑으로 내몰고 있다.

세계 식량재고율의 하락곡선은 25%에서 18%를 지나 2008년도에는 14.6%를 예상하고 있다. 캐나다, 호주, EU 등 전 세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기상이변과 그에 따른 농산물 생산량의 급격한 감소도 한몫을 하고 있다. 

바이오 연료의 원료인 옥수수 경작면적 확대에 따라 상대적으로 재배면적이 줄어든 밀과 콩 등 식량 및 사료작물은 공급이 줄어듬에 따라 동반하여 가격이 치솟고 있으며, 세계4대 메이저 곡물회사들의 수급조절과 투기자본의 유입은 현재의 상황을 연출해 내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우리국민 1인당 소비하는 쌀의 경우 2003년 83.2kg/년에서 2007년 76.9kg/년으로 매년 2.7%씩 급감하고 있으며 육류 및 밀 소비량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밀의 경우 국민 1인당 34kg/년을 소비함으로서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렇듯 밀은 쌀 다음으로 우리국민이 많이 소비하는 제2의 식량이지만 99.8%를 수입에 의존함으로서 자립의 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 곡물자급률은 호주가 280% 프랑스 191% 캐나다164%이며, 우리나라는 쌀을 제외하면 5%이며, 밀 곡물 자급률 1%상승비용이 1,539억원 이라니 더욱 걱정이 된다.

1990년 민간에서 시작된 우리밀살리기운동이 20여년을 목전에 둔 지금, 우리밀 소비 규모는 년간 1만톤 내외로 생활소득 향상, 참살이(웰빙) 문화의 확산 ,식품의 안전성 문제 등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그 규모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것은 현재까지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수입밀에 의존해왔던 소비자들이 곡물가 상승에 따라 가격차가 줄어든 우리밀로 소비경로와 패턴을 전환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2007년도 우리밀 재배 면적은 2,800ha에 11,200톤을 생산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수입하는 밀의 경우 주 수입국은 미국(31%), 호주(29%), 캐나다(18%) 순이며, 년간 수입량은 약 350만톤으로 이중 식용으로 220만톤, 사료용으로 130만톤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밀을 100%자립한다는 가정하에 살펴보면 220만톤을 생산하기 위하여 종자는 275만가마(11만톤)가 필요하며, 경지면적은 약52억m2(172만ha)가 필요하다. 만약 사료를 포함한 밀소비량의 100%를 자급한다고 할 경우 그 양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2007년에 국내에서 생산되었던 우리밀 총생산량이 1만톤인 점을 감안한다면 1년 수매했던 전량을 종자용으로 사용해서 다음해에 수확한다 하더라도 식용으로 소비하는 양의 10%에도 못 미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종자용 밀의 확보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무엇보다 정부에서 종자용 밀의 안정적인 확보에 힘써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농업과 식량은 필요하다고 해서 단기간에 급격한 증가를 이루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제2의 식량으로서 우리밀이 가지는 위치와 역할이 막중하다. 이미 농림부 용역으로 진행된 식량자급률 법제화 과정에서 누차례 밝혀진 바와 같이 식량자급률을 높이는 방법 중 가장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은 우리밀의 자급률을 높이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국민들의 현실적 식생활문제와 소비성향을 고려해보아도 밀의 중요성은 두드러진다.

아직도 늦지 않았다. 더큰 파도에 휩쓸리기 전에, 생명의 근본인 농촌이 더욱 황폐화되고 생산기반이 사라지기 전에, 정부의 정책적인 노력과 국민들의 지원과 성원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2006년 5배에 이르렀던 우리밀 과 수입밀의 가격차이는 2008년 현재 2배로 줄었으며,밀가루를 포함한 가공식품의 경우 1.2배~2배정도로 낮추어진상황이다.

이제 국민들이 선택하고 답해주어야 한다. 수입밀을 소비했던 국민들이 우리밀로 돌아서야 한다. 생산농가와 우리밀 유통조직들이 흡수하고 있는 충격을 우리밀 소비확대를 통한 국민의 힘으로 완화시켜야 한다. 그럼으로써 가격과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식량자립의 기틀을 마련하고, 우리민족의 생명을 책임지고 있는 농업농촌을 살리는 큰길에 온 국민이 함께 하면서 수입개방의 파고를 슬기롭게 대처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정부가 이해하고 정책으로 답해주어야 한다. 정부정책의 부재속에서 소수 민간의 노력으로 18년의 세월을 한결같이 지켜온 우리밀! 이 소중한 자원을 국민 모두가 살려냄으로써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국민 건강증진과 농업 회생의 발판으로 만들어야 한다. 
문의: www.우리밀농협.kr/  (062)971-3425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