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일 오후 1시 국보 석등 보수 고불식
오는 10일 오후 2시 화엄석경관 개관식 예정

대한불교조계종 19교구 본사 지리산 화엄사(주지 덕문스님)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국보 12호)을 62년 만에 부분해체 보수하는 고불식과 화엄석경관(보물 1040호) 개관식을 오는 10일 오후 1시, 2시에 각각 개최한다.

화엄사를 1300여년 밝혀온 화엄사 각황전앞 석등은 전체 높이 6.4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석등은 1961년, 1986년, 2009년 3번에 걸쳐 보수를 한 바 있다.

전남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국보61호). ⓒ화엄사 제공
전남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국보 12호). ⓒ화엄사 제공
화엄사 각황전과 석등. ⓒ화엄사 제공
화엄사 각황전과 석등. ⓒ화엄사 제공

1961년은 전체해체보수, 1986년은 접합복원, 2009년엔 전체세척을 하였다.

1961년은 기초를 콘크리트로 다짐 후 전체해체보수를 하였고, 화사석·상대석 등 기존의 부재들을 목재로 보양하여 재사용하였다.

1986년은 간주석 박리로 떨어져 나간 부분과 옥개석의 떨어져 나간 부분을 수지처리하거나 접합 복원하였다.

2009년에는 건식과 습식세척을 사용하여 전체세척을 하였다.

2023년 62년 만의 부분해체보수는, 석등은 그간 시행된 정기조사(2012년,
2015년, 2018년), 문화재 특별 종합점검
(2014년), 정밀안전진단(2015년) 등의 결과, 석재 표면 박리가 다수 확인되며
특히 화사석과 상대석 균열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어 실시하는 것이다.

이에 국립 문화재연구원에서는 2019년부터 중점관리
대상 석조문화재로 선정하고 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지난 4년간 모니터링한 결과, 화사석에서 구조적 불안정을 초래하는 관통상 균열 11개소, 표면균열 1개소가 확인되었으며, 최소 6조각으로 파손된 상태였다.

상대석도 관통상 균열이 확인되며 최소 2조각으로 파손된 상태였다.

특히 화사석의 수직 균열은 해당 기간 균열 폭이 지속해서 증가하는 진행성 균열로 판단되어,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부분해체 및 보존 처리 하기로 하여 고불식을 갖게 되었다.

화엄사 석경. ⓒ화엄사 제공
화엄사 석경. ⓒ화엄사 제공

한편 13세기 중반에 부처님의 신통력으로 몽골의 침입을 물리치기를 기원하고자 목판에 새긴 해인사의 팔만대장경과 달리 '화엄석경(보물 제1040호)'은 8세기 중엽 연기조사가 장륙전(현 각황전) 내부 사방벽에 부처님의 말씀인 화엄경을 돌에 새긴 석판을 설치한 것으로 영원불멸을 염원하는 마음을 담았다.

화엄석경은 오랜 세월과 정유재란(1597년), 그리고 풍화로 1만 4천여점의 파편으로 변해 버리고 말았지만 그 존재가치만은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 손색이 없는 보물이다.

덕문 화엄사 주지스님은 “화엄석경관은 문화재를 보존의 관점에서 이제는 국민과 함께 문화재를 누릴 수 있도록 활용하는 관점으로 지었다”고 개관의 의미를 전했다.

이어 “화엄사상을 통해서 분열된 마음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기반이 분명히 있어야 한다"며 "화엄석경의 복원 사업을 통해 석경 정신을 국민화합으로 공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화엄석경은 정유재란 때 화재로 변색되어 회갈색과 암갈색을 띠고 있다.

작은 것은 5∼10자, 큰 것은 100자 내외의 글씨가 새겨져 있으며, 글씨체는 해서체이다.

화엄사 석경. ⓒ화엄사 제공
화엄사 석경. ⓒ화엄사 제공
화엄사 석경. ⓒ화엄사 제공
화엄사 석경. ⓒ화엄사 제공

화엄석경관은 연구수장동 1개동(지하1층, 지상2층), 관리지원동 1개동(지상1층, 전통한식구조)로 되어 있으며, 2018년 1월 문화재청 지침이 확정되어 현지조사 용역, 기본설계 등을 거쳐 2019년 11월 문화재청 실시설계 승인을 거쳐, 2023년 1월에 공사와 감리완료 후 준공검사가 승인되어 개관식을 하고 본격적인 화엄석경의 보존, 관리, 연구, 복원 등을 하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초대 화엄석경관장에는 화엄사 문화국장 우견스님이 임명되었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