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회견문 [전문]
임나 지명 선(先) 삭제 후에 E-BOOK을 공개하라
작년 12월 중순경, 시민단체들은 의문이 제기되었던 <전라도 천년사>에 대해 전북도청에 정보공개를 요청하였고, 그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남원과 장수를 을 임나일본부설 지명(임나 지명)인 ‘기문국(己汶國)’과 ‘반파(伴跛)’로 기술한 것이 소문대로 확인됐다.
이로부터 우리 시민단체들은 연대하여 <전라도 천년사>에 임나일본부설의 지명이 있는 한 출판기념식을 할 수 없다고 항의시위를 전개하였고, 이에 전북도는 12월 21일로 예정되었던 소위 출판봉정식을 잠정연기하고, 문제가 된 <전라도 천년사>의 E-BOOK을 올 1월 중에 공개하여 시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E-BOOK 공개는 차일피일 미루어지기 시작했다.
우리는 지자체와 <전라도 천년사> 편찬위원회 측에서 일말의 양심이 있어서 문제의 임나 지명을 자진 삭제하고 재정리한 다음에 E-BOOK을 공개하기 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

그러던 중 4월 18일 전북도는 전남도와 광주시, 편찬위원회 등이 전북도청에서 긴급 연석회의를 열고 <전라도 천년사> E-BOOK을 4월 중에 2주간 온라인으로 공개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전북도는 온라인으로 공개하는 2주간 이의신청을 거친 후에 2주간 편찬위에서 반영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했다.
대상 항목은 ‘식민사관’과 ‘친일’에 관련되는 부분만 해당된다고 단서를 달았다.
그러면서 사업은 올 6월 말까지 종료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4개월 동안 은인자중했던 우리 시민단체들은 다시 궐기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사이에 우리에게는 “출간을 먼저하고 출간 후에 내용을 검토하자”며 편찬위원들이 행정기관을 압박하고 있다는 소문이 들렸으며, “E-BOOK 공개가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등의 반협박성 말들이 들려 왔어도 마지막까지 인내하며 결과를 기다렸다.
그러나 식민사학자들의 궤변과 꼼수는 대단했다.
식민사관의 임나 지명을 사용해서 도민과 시민에게 죽을죄를 지었다는 사과 한마디 없이 2주 동안에 20,000 쪽에 달하는 34권의 책을 다 보고 2주 안에 이의신청을 알아서 하라니 도대체 이런 법이 어디 있는가?
5년 동안 편찬한 것을 2주 동안 이의 신청하라니! 거기다 2주 동안 편찬위원들 자신이 쓴 내용에 대한 이의신청을 접수하고 편찬위원들이 반영 여부를 결정하고 출간까지도 결정한다니!
이 무슨 말 같지도 않은 결정이란 말인가! 출간한다는 6월은 이제 겨우 2개월 남았다.
전북도, 전남도, 광주광역시 지자체 공무원은 더 이상 편찬위원들의 꼼수에 농락당하지 말고, 전라도민에게 부여받은 직무로 복귀하여 <전라도 천년사>에 왜곡된 내용의 이의신청을 직접 접수하고 시민사회단체를 포함한 공개학술토론회를 개최하고 전라도민의 요구가 반영된 검증위원회를 구성하여 문제 제기된 내용을 바로잡고 출간을 스스로 결정하라! 우리는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
어찌 임진왜란을 온몸으로 항거한 만인의총이 계신 곳, 동학혁명과 광주 민주항쟁의 뜨거운 피가 아직도 뛰는 성스러운 전라도에 하필이면 일본 지명인가?
<일본서기>의 임나 지명은 마땅히 일본 열도에 가서 찾아라.
무슨 이유로 없는 지명을 억지로 전라도에서 찾으려 이곳저곳에 부지깽이 꽂듯이 하는가?
전쟁도 아니하고 전라도 땅을 왜놈에게 넘겨주려 하는 것인가!
남원의 옛 지명은 ‘기문’이 아니라 ‘고룡(古龍)’이며, 장수의 옛 지명은 ‘반파’가 아니라 ‘백이군(伯伊郡)’과 ‘우평현(雨坪縣)’이며, 해남 강진의 옛 지명은 ‘침미다례’가 아니라 ‘도무군(道武郡)’이었다.
전라도를 소위 임나가 지배했다는 호남가야설(임나)을 주장한 자가 다름 아닌 경복궁에 난입해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한 낭인 깡패 ‘아유카이 후사노신(鮎貝房之進)’이라는 것을 아는가?
가야는 임나가 아니다.
그럼에도 가야가 임나라고 주장하면서 <일본서기>에 나오는 지명들을 한반도 남부에 전부 비정하는 식민사학자들은 사실상 임나일본부설을 인정하고 숭상하는 것이다.
우리 스스로 임나일본부설을 폐기 처분하지 않는 한 우리는 선진국 대열에 떳떳하게 진입할 수 없다.
우리의 후손들에게 떳떳한 조상으로 남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첫째, <전라도 천년사>의 신성한 본래 목적과는 달리 우리 역사를 난도질하여 조상님들 앞에 한없이 부끄럽게 만든 편찬위원들과 전북연구원은 현재까지 확인된 임나 지명인 ‘기문(己汶)’ ‘반파(伴跛)’ 등을 전라도에 위치 비정한 것에 대해 엎드려 사죄하라.
둘째, 앞으로 2주 안에 편찬위원회 자체적으로 <전라도 천년사>에 표기된 일체의 임나 지명을 먼저 삭제 후에 E-BOOK을 공개하라!
아울러 <일본서기>라는 책명도 일체 노출하지 말라!
삭제해야 할 전라도 지방 관련 주요 임나 지명은 다음과 같다.
기문(기문국), 반파(반파국), 침미다례, 대사, 고해진, 상다리(상치리), 하다리(하치리), 모루, 사다(사타) 등
전라도 지방 연관되는 임나 지명은 다음과 같다.
곡나, 대산, 고사, 비자, 감라, 반고, 비리, 고사산, 벽중, 벽지산 등
그밖에 연관된 임나 지명은 다음과 같다.
비자발, 남가라, 녹국, 안라, 다라, 탁순, 가라, 고차국, 졸마국, 탁기탄 등
셋째, 만일, <전라도 천년사>에 대일항쟁기(일제강점기)에 있었던 친일미화나 역사 왜곡이 발견되거나 고려 이후라도 편향된 시각에서 서술한 내용이 발견되어 이에 대해 이의신청할 경우 당연히 수정하라!
넷째, <전라도 천년사>에 왜곡된 역사, 반민족적 역사 기록이 들어 있다면 2주가 아니라 십 년, 아니 백 년이 걸려도 바르게 수정한 후 출간하라!
다섯째, 전북도, 전남도, 광주광역시 지자체 관계자들은 <전라도 천년사>의 이의신청을 직접 접수하고 공개학술토론회를 개최하고 검증위원회를 설치하여 심사한 후 출간을 직접 결정하라!
이와 같이 우리 역사를 바로 세우지 않는 한 우리의 미래와 강토를 온전히 지킬 수 없다는 절박한 충정으로 <전라도 천년사> 편찬위원들과 전북연구원 그리고 전북, 전남, 광주시 지자체에 거듭 맹성을 촉구한다.
아울러 작년 4월, 문화재청이 ‘기문’, ‘다라’의 임나 지명을 사용하지 않기로 공지했다는 사실을 명심해주기 바란다.
임나 지명의 사용 여부는 더 이상 논의의 대상도 아니며, 식민사관의 문제는 더 이상 학문의 영역이 아닌 것이다.
마땅히 청산되어야 할 식민잔재일 뿐이다.
이상의 요구조건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우리는 <전라도 천년사>에 대한 전면적 폐기 투쟁에 들어갈 것을 선언한다.
2023(4356). 4. 25.
전라도오천년사바로잡기500만전라도민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