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전문]
 

군사작전하듯 밀어붙인 ‘용서의 남용’이 아닌 진상규명 위한 충분한 고백과 사과가 절실하다.

기습참배와 모자결연 행사, 피해자 두 번 울리는 기만적 행태
공동선언식, 되려 지역사회 갈등과 분열만 남겨 
진정한 ‘포용과 화해’는 진상규명 위한 충분한 고백과 사과 위에 있어야
영원한 책임 의식해야 더 나은 미래를 건설할 수 있어

 

어제(19일) 일부 5.18단체와 특전사동지회의 국립 5.18민주묘지 기습 참배와 대국민 공동선언식 강행은 오월의 역사와 시민 앞에 떳떳치 못한 일이었다. 

알려진 시간을 부러 옮겨 군사작전처럼 기습적으로 참배했다는 것은 이번 ‘화해와 용서’가 정당성 없음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 아닌가.

ⓒ
(사)대한민국 특전사동지회가 5.18부상자회, 공로자회 대표단과 함께 19일 오전10시께 당초 오후2시 참배 일정을 앞당겨 기습적으로 참배하고 있다. 앞줄 맨 왼쪽부터 전상부 특전사동지회장, 천익봉 특전사동지회 총재.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제공

말뿐인 사과, 용서의 남용으로 오월을 분열시키고 시민들을 돌아서게 만드는 게 누구인가.

‘그만해도 된다. 그쯤하면 되었다’가 될 때까지 고백하고 사과해도 모자라다. 

무고한 시민들의 억울한 죽음의 진실이, 참혹한 그날의 진상이 아직도 제대로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국가폭력의 희생자들을 경찰과 군대와 같은 합법적 폭력의 동원으로까지 보아야 한다는 공감대도 형성되고 있다.

무겁고 엄중한 마음으로 그런 논의와 화해가 시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두 단체의 이번 행사는 심히 그 진정성을 의심하게 한다.

이번 행사는 가해자에 대한 용서와 포용으로 5.18진상규명의 진전을 이끌어내겠다는 취지에서 기획되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정작 행사는 5.18과 지역사회에 갈등과 분열만 남긴 채 그 의미가 퇴색되어버렸다.

사과와 용서의 과정과 절차는 이렇게 군사작전 하듯이 밀어붙일 일이 아니다.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에 충분한 공감대와 신뢰를 형성하는 일은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는 어려운 일이다.

용서와 참회 역시 말뿐인 생색이 아니라 ‘영원한 책임’의 자세로 임해야 한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피해자에게 사과를 받으라 강요하고, 가해자들을 빨리 용서해주자는 식으로 어거지 밀어붙이기식 행사로 해치워버린다면 사과에 대한 진정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이번 사태로 오월 당사자들이 분열되고, 시민들이 등을 돌리고 있다.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는 일방적인 ‘포용과 화해’를 중단하고 고백과 성찰을 위해 더욱 매진해야 한다.

2023년 2월 19일 
 

정의당 광주시당 

키워드
#ㅐ학
관련기사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