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 시인 이상(1910~1937)의 연작시 「건축무한육면각체」의 작품 중 하나인 난해시 「진단 0 : 1」을 물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한 논문이 이상문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에 게재됐다.

지스트 기초교육학부 이수정 교수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UC 머세드) 물리학 박사과정생 오상현 씨(지스트 졸업생, 물리전공)는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이상의 시 「진단 0 : 1」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공간에 관한 시임을 규명하고 이를 해설했다.

(왼쪽부터) 지스트 이수정 교수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세드 물리학 박사과정 오상현(지스트 물리전공 졸업). ⓒ지스트 제공
(왼쪽부터) 지스트 이수정 교수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세드 물리학 박사과정 오상현(지스트 물리전공 졸업). ⓒ지스트 제공

연구팀은 지난 2021년에 이상의 대표적 난해시인 「삼차각설계도」와 「건축무한육면각체」를 4차원 기하학·물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진단 0 : 1」은 가운데 점(•)이 대각선을 가로지르는 11행 11열의 숫자표와 ‘진단 0 : 1’이라는 표현 등이 등장하는 짧은 시이다. (그림1 참조)

이에 대한 기존의 해석으로는 행이 바뀔 때마다 1/10씩 곱해지는 등비수열이라거나, 대각선을 사이에 둔 대립에 관한 묘사라는 관점 등이 있었다.

연구팀은 기존의 해석에서 벗어나 물리학적 관점에서 새로운 해석을 제안하였다.

연구팀은 숫자표의 숫자를 시공간 좌표로 보고, ‘진단 0 : 1’이란 마치 종이를 말아서 양 끝이 이어진 원통형으로 만들듯 시공간의 경계를 연결하고 반복시키는 진술이라고 설명했다.

ⓒ지스트 제공
그림1. ⓒ지스트 제공
ⓒ지스트 제공
그림2. ⓒ지스트 제공

또한 「진단 0 : 1」은 「건축무한육면각체」의 시공간적 배경을 설정하는 시이며, 여기에 나타난 시공간의 연결과 반복이라는 주제(주기경계조건 모티프)는 반복, 무한, 공포, 권태, 자아분열 등 이상 문학에 등장하는 다른 모티프와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상의 다른 작품인 「삼차각설계도 – 선에관한각서6」을 토대로 숫자표에 등장하는 수열 ‘1234567890’이 무한히 반복되는 수열의 순환마디이자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공간 좌표를 암시하는 것이라 해석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발상을 ‘주기경계조건 모티프’로 명명하였다.(그림2 참조)

‘주기경계조건 모티프’를 토대로 「진단 0 : 1」의 숫자표를 이어 붙여보면 숫자표의 경계 부분에서 숫자 배열의 불연속성을 볼 수 있다.(그림3 참조)

이는 시공간이 부적절한 주기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어붙인 숫자표의 상반부를 왼쪽과 아래쪽으로 한 칸씩 이동시켜 포개어 붙임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림4 참조)

‘0 : 1’은 이러한 ‘이동시켜 포개어 붙이기’를 의미한다. 숫자표의 상반부를 이동시켜 포개어 붙일 때 그 가운데 부분에 주목하면, 0과 1, 그리고 가운데 점(•)이 다음과 같이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지스트 제공
그림3. ⓒ지스트 제공
ⓒ지스트 제공
그림4. ⓒ지스트 제공

우선, ‘0 : 1’에서 ‘ : ’은 기존에 대각선으로 배치되었던 두 가운데 점(⦁⦁)을 일렬로( : ) 정렬하기 위해 위쪽 ‘0 • 1’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첫 번째 단계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0’과 ‘1’은 위아래로 배치된 0과 1 쌍(, )을 하나의 0과 1로 만들기 위해 위쪽 ‘0 • 1’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포개는 두 번째 단계에 대응한다.

이때 ‘진단 0 : 1’은 좁게 해석할 경우 주어진 숫자표에 ‘0 : 1’로 표현되는 조작이 필요하다는 진단으로 보다 넓게 해석할 경우 시공간(또는 세상과 사회)에 대한 진찰을 통해 그것이 병적으로 반복되고 있다는 통찰적 판단으로 볼 수 있다.

이수정 교수와 오상현 씨는 “이번 연구를 통해 「진단 0 : 1」에 대한 새롭고 혁신적인 해석을 제안했을 뿐만 아니라 주기성 시공간을 문학의 소재이자 배경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이상의 문학적 독창성과 전위성에 대한 이해를 끌어올렸다”며 “이는 차원주의(Dimensionism) 등 당대 유럽의 예술운동 사조보다 혁신적인 문학적 시도”라고 말했다

또한 “주기경계조건 모티프는 이상의 작품을 해석하는 새로운 프레임워크이자 패러다임으로 기능하게 될 것”이라 덧붙였다.

본 논문은 ‘이상 시의 주기경계조건’ 논문 시리즈의 첫 번째 출판물로, 시리즈의 후속 논문에서는 「삼차각설계도」, 「건축무한육면각체」, 「오감도」 등에 드러난 주기경계조건 모티프와 그 해석에 관해 다룰 계획이다.

ⓒ지스트 제공
그림5. ⓒ지스트 제공

이번 연구는 2022년도 지스트 개발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이상문학회가 발행하는 <이상리뷰> 18호에 2022년 12월 30일 ‘이상 시의 주기경계조건 1 - 「건축무한육면각체 – 진단 0:1」의 파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해당 논문에 대한 정보는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검색할 수 있으며, 아래 링크에서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9857)

논문의 주요 개념과 논점을 요약·소개하는 논문 소개 영상(26분)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VT7J85OtCFc)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