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평화포럼 주최, '위안부 문제와 한일관계, 한일 간 강제 징용 문제' 강연
"일본의 만행 용서하면 안 된다. 역사적인 사실에 분노하고 후대에 전해야"

17일 오후3시 광주 동구 문화공간 '김냇과'에서 광주평화포럼(이사장 김완) 주최로 호사카 교수의 '위안부 문제와 한일관계-한일 간 강제 징용 문제‘를 주제로 강연이 열렸다

호사카 유지 교수는 “일본인의 거짓말에 놀아나는 한국인이 많다”라며 “일본은 독도에 대해 어마어마하게 거짓말로 왜곡 한다. 보통 일본인은 정직하고 거짓말을 안 한다. 일본에서는 한일관계의 역사를 거의 가르치지 않는다”고 현재 일본인들의 역사 인식을 설명했다

호사카 유지 교수가 지난 17일 광주평화포럼 주최로 '위안부 문제와 한일관계-한일 간 강제 징용 문제‘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예제하
호사카 유지 교수가 지난 17일 광주평화포럼 주최로 '위안부 문제와 한일관계-한일 간 강제 징용 문제‘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예제하

또 “한반도가 일본에 의해서 분단이 되었다는 사실을 모르는 국민이 대다수이다”라며 “아베 경제보복 발표 후 한국의 피해는 없었다 사실상 일본의 피해가 컸다”라고 밝혔다.

일본군 위안부 보상에 관해서는 “일본이 두려워하고 있는 것은 보상하면 일본이 망한다고 생각한다. 일본은 ‘위안부’ 문제에 관해서 범죄를 일으켰다고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라고 말했다

호사카 유지 교수의 저서 ‘일본의 위안부문제 증거자료집’은 아이러니하게도 일본에서 잘 팔리고 있다.

호사카 유지 교수는 “위안부 문제는 논리화 대중화가 필요하다 위안부 문제는 전시 여성의 보편적 인권 문제에 반한다”라며 “유럽에서는 나치 독일의 문제에 대해 지금도 예민하게 대응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은 지나간 과거이고 현재 일본군위안부 할머니가 몇 분 남아있지 않다고 해서 일본의 만행을 용서하면 안된다”며 “이런 역사적 사실들은 분노하고 후대에게 전달해야 한다 지금도 신사를 참배하는 일본 정치인들이 있다”고 말했다

또 “2015년 한일 위안부합의도 형식적이었고, 그 이후 일본 정부의 망언들이 이어졌다. 특히 아베 신조 전 총리는 합의가 결정된 2015년 12월 28일 이후 불과 3주 만에 일본 국회에서 위안부를 강제 연행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얘기했다. 그렇다면 합의에서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말 자체가 거짓말이 되는 것이다. 그런 인식을 지금의 일본 정부도 이어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호사카 유지 교수. ⓒ예제하
호사카 유지 교수. ⓒ예제하

호사카 유지 교수는 “이용수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가 국제형사재판소에서 세계적으로 세세한 조사를 해야한다고 한 것은 굉장한 외교 카드지만 지금 까지 못하고 있는 것은 미국의 압력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인권의 이해력이 깊으면 대통령이나 국가의 주권 문제 인권 문제나 재판 과정 모두 공개해야한다 지금 일본은 유엔의 결정을 바꾸려는 게 기본 입장이다“라고 말했다

한일간 강제징용 문제는 ”일본의 주장은 한국인 징용자들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일을 강요당했다’는 사실이 있으나 불법은 아니었다”며 “일본은 1965년 국내적으로 법률 144호를 제정해 한국인의 개인청구권 소멸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호사카유지 교수는 “일본에 가서 소송하면 처음부터 안된다고는 하지 않는다”라며 “1심에서 이기고 2심서 패배하기도 하고 대법원에서 패하기도 한다. 한국 사람이 일본에 가서 소송하면 패배하게 되어있다. 한국에서는 대법원까지 3년이 걸린다 일본은 대법원까지 10년 20년 인생이 끝난다”고 말했다

ⓒ예제하
ⓒ예제하

앞으로의 거취에 대해 호사카유지 교수는 “연구자는 비판 할 때는 비판해야 한다. 연구자는 담론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진상 규명 역사적 사실을 규명하기 위해 학자로 남으려고 한다”고 소명을 밝혔다

강연의 말미에 호사카 유지 교수는 “일본의 망언을 막기 위해 철저한 연구와 대중화가 필수”라며 “일본의 국회의원은 변호사나 검찰이 없다 일본은 그냥 정치인이다. 이것이 한국이 일본을 추월해가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