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출 장르에 남북 문제를 더한 영화 - 류승완 감독의 '모가디슈'

내전이 발생한 도시와 그곳에서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된 인물들의 탈출기. 영화 <모가디슈>는 그 무모해 보이는 인물들의 탈출에서 느껴지는 호기로움이 류승완 감독의 전작들과 유사한 결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모가디슈>는 탈출이라는 동일한 소재로 제작된 <군함도>의 장면들이 떠오르면서도, 정해진 목표를 향해 뒤돌아보지 않고 밀고 나가는 인물들의 모습에서는 <짝패>의 후반부 요릿집 장면이 그 방향성을 뒤집은 것(밀고 들어가는 것)으로도 보인다.

그러나 <모가디슈>는 영화에서 느껴지는 호쾌한 에너지와는 별개로 한편으로는 찝찝하다는 인상을 남긴다.

이러한 인상은 영화가 탈출이라는 서사와 냉전시대의 남북이라는 또 다른 서사 사이에서 애매한 줄타기를 한 까닭으로 보인다.

영화의 뼈대를 이루는 핵심적인 서사는 내전이 발생한 모가디슈로부터의 탈출이지만, 동시에 그 탈출을 감행하는 인물들의 배경이 남과 북이라는 점도 영화에서 주요하다.

그러니 탈출 영화로서 <모가디슈>의 서사는 단순히 탈출만을 목표로 그 임무에 성공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남과 북이라는 구도까지 그 셈에 더한 채로 탈출을 성공시켜야만 하는 것이다.

문제는 <모가디슈>의 방점이 둘 중에서 탈출에 더 가깝게 찍혀있다는 것이다. 영화에서 어떻게 탈출할지에 대한 고민은 어떤 수단과 방법으로 이곳에서 빠져나갈지에 있지, 그 탈출의 주체인 남과 북이 어떻게 서로를 믿고 서로의 국가에서 제정한 법률에 저촉되지 않는 선에서 협조할 수 있을지에 있지 않다.

영사관을 나오기 전 반군의 총탄을 막아내기 위해 책과 모래주머니를 차에 매다는 장면을 영화는 꽤 많은 숏을 통해서 정성스레 바라본다. 마치 모래주머니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자루에 모래를 담던 북한 아이의 모습처럼 야무지다는 인상이 느껴지는 장면이다.

반면 탈출 과정에서 남과 북의 특수한 구도는 그 정체성이 옅다. 강대진(조인성)의 계책이 있었다 하더라도 한국 영사관을 찾아온 북측 사람들에게 영사관의 문은 의외로 쉽게 열렸으며, 영화 초반에 치열하게 외교전을 벌이던 남과 북 사이의 연대는 그들이 함께 식사하는 장면 하나만으로 형성될 만큼 간단한 것으로 그려진다.

자신들의 행위가 국가보안법에 위반된다든가, 북한은 아이들까지 군사훈련을 받는다는 불안감은 잠시 스치듯 언급되고 지나갈 뿐이다.

그리고 그 정점은 다음날 이탈리아 영사관에서 수교국가가 아니라는 이유로 북측 사람들을 구조기에 태우지 못하게 되자 그들이 전향자라는 거짓말만으로 상황이 해결되는 장면에서다. 쾌재보단 황당함이 느껴졌던 이 장면에서 림용수(허준호)를 중심으로 하는 북한인들은 굳이 그 국적이 북한일 필요가 있었을까.

이는 반대로 한신성(김윤석)을 비롯한 남측 인물들도 마찬가지다. <모가디슈>의 인물들은 서사 내에서 자신들의 국가 배경이 기능을 하지 못하면서 결과적으로 탈국적 인물처럼 그려져 설령 다른 국적의 설정을 가지더라도 서사적으론 문제가 없게 된다.

이를테면 북한의 자리에는 영화의 시간적 배경 당시 한국과 수교를 맺지 않은 중국이 오더라도 문제가 없는 것처럼 말이다. 이를 보여주듯 영화 중반까지 신성의 차에 달려 있던 차량용 태극기는 이탈리아 대사관으로의 탈출 과정에서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남과 북의 옅어진 정체성은 그들이 연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그들의 특수한 구도가 영화에서 자리하지 않게 되면서 이제 그들은 재난 공동체로 변모하게 된 것이다.

공서기관(정만식)의 실수로 정부군의 공격을 받게 된 상황에서, 카메라가 일렬로 놓인 4대의 자동차를 총알이 관통한 유리창을 통과하며 한 숏으로 담아낸 장면은 그들이 지금 공동의 상황에 처해있음을 명시한다.

그리고 4대의 자동차는 앞서의 장면에서 카메라가 통과한 길 그대로 한 줄로 연결되어 있듯이 서로에게서 멀어지지 않은 채로 정부군의 추격을 피하는데, 어느 순간을 기점으로 딱 한 차량만이 무리에서 이탈하게 된다.

남과 북의 정체성이 옅어진 대신 연대를 이루어 탈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 <모가디슈>에서 유일한 희생자는 이 무리에서 이탈한 차량의 운전대를 잡은, 그 차량의 행로처럼 연대에서 돌출적인 모습을 보인 태준기(구교환)이다.

<모가디슈>는 결국 국가적 배경이 뚜렷한 인물만을 희생자로 남겨두고서 탈출에 성공한다.

림용수를 비롯한 북측 인물들이 남측과 연대를 이뤄갈 때, 유일하게 상대방을 의심하고 그 연대에 반대를 보인 태준기는 영화가 추구하는 질서에 어긋나는 인물이다.

모가디슈에 묻힌 그를 추모하는 장면이 지나면, 영화는 케냐에서 다시 남과 북으로 나뉘게 되는 마지막 장면으로 이어진다. 서로를 보아서도 안 되는 이 장면은 영화가 그동안 탈출 방법에만 매몰되어 묻어둔, 남과 북 사이의 연대에 관한 질문이 다시금 발생하는 지점이다.

여전히 봉합되지 못한 현실을 영화가 껴안는 이 결말은 분명 담백했지만, 그 결말에 이르기까지 과정에서 영화는 왜 현실을 배제한 채로 탈출 과정에만 집중했을까. 먹먹한 결말로도 답을 얻지 못한 질문이 <모가디슈>의 호쾌함에도 한편으로는 찝찝함과 아쉬움이 드는 이유이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