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광주항쟁은 1980년 이래 우리나라에서 민주주의 교육의 살아있는 교과서가 되었다.

1980년 이전까지는 4.19 혁명이 그랬다. 내가 대학에 다니던 1970년대에 학생들의 시위 현장에서 가장 많이 외쳐진 구호는 ‘4·19 정신을 계승하자’였다.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19일 오전 남구 빛고을시민문화관에서 열린 '제61주년 4·19혁명 기념식'에 참석해 유공자 표창을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청 제공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19일 오전 남구 빛고을시민문화관에서 열린 '제61주년 4·19혁명 기념식'에 참석해 유공자 표창을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청 제공

4·19 정신은 5.16쿠데타와 유신체제로 단절된 민주주의를 부활시키기 위한 정신적 원동력 역할을 했다. 4.19는 1948년 대한민국이 수동적으로 받아들인 민주주의 제도를 우리 가슴 속에 체화시켜 진정으로 나의 것으로 발전시킨 역사적 사건이었다.

4.19가 발생한 지 61년이 지났다. 또 5.18이 발생한 지 41년이 되었다. 이제 이 모든 사건은 학생들에게는 교과서적인 사건이나 다름없다.

예외적으로 광주·전남 지역 학생들에게는 5.18을 직접 경험한 부모, 친지, 이웃들이 민주주의의 살아있는 교과서 역할을 해주고 있지만, 그것도 시간이 좀 더 지나면 달라질 것이다.

얼마 전 서울시장 선거에서 드러나듯 20~30대의 정치성향이 많이 바뀌고 있다. 향후 20~30대가 될 초중등 학생들의 미래의 모습도 비슷할지 모르겠다. 무엇이 이들에게 민주주의를 위한 ‘살아있는 교과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절차상(정치적) 민주주의는 어느 정도 안정적 궤도에 올랐다. 하지만 평화, 생명의 문제 등 민주 시민교육에서 감당해야 할 새로운 과제들은 계속 부상하고 있다. 일상적 삶 속에서의 민주주의 역시 아직도 채워야 할 내용이 많다.

기성세대들은 거리에서 ‘4.19정신 계승하자’ ‘5.18 학살자들 처벌하라’라고 외치면서 민주주의를 배웠다.

하지만 10대 청소년들에게는 다른 방식으로 민주주의를 가르쳐야 한다. 거리가 아닌 교실에서 간접적으로 민주주의를 교육해야 할 선생님들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질 것 같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