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사분위, 25일 학계 법조계 시민사회 인사 등 선임
옛 경영진 추천 인사 포함 '불씨'...대학구성원, "정상화 매진"

교육부가 조선대학교 3기 정이사 9명을 선임했다.

교육부 사학분쟁조정위회(사분위)는 지난 25일 회의를 열고 조선대학교 정이사 9명을 학계, 법조계, 시민사회 인사들로 선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조선대학교 일부 구성원 등에 따르면 이번에 선임된 임기 3년의 정이사 9명은 김이수 전 헌법재판관, 정병준 이화여대 교수(개방이사), 임동윤 조선대 교수, 신윤숙 전남대 교수, 조은정 목포대 교수(개방이사), 백란 호남대 교수, 김무영 치과원장, 변원섭 전 참여자치21 공동대표(개방이사), 이문수 전남도민일보 사장이다. 

조선대학교 전경.
조선대학교 전경.

이번에 교육부가 조선대 정이사 선임을 완료함에 따라 조선대학교 최고의사결정기구인 법인의 정상화와 함께 산하 일선 학교 및 소속 기관에 대한 관리감독도 정상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선임된 정이사 9명 중 3명(정병준 조은정 변원섭)은 학계와 시민사회 인사가 선임돼 대학의 지역성과 투명성, 공정성을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김이수 전 헌법재판관의 경우 헌재 재직 당시 소외층과 소수자를 대변하며 개혁적인 의견을 다수 낸 재판관으로서 민립대학의 정체성을 지니고 공영형 사립대학으로 나가려는 조선대의 방향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조선대구성원들이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이사의 경우 정이사 추천 과정에서 옛 경영진의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사들의 추천인사로 알려져 향후 이사회 및 대학운영에서 갈등의 불씨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같은 우려는 교육부 사분위가 정한 정이사 추천방식인 교육부 추천 2명, 대학구성원 추천 2명, 종전 2기 정이사 추천 2명(개방이사 3명 제외)이라는 구조적인 한계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즉 이번 3기 정이사 중 조선대의 정체성과 거리가 먼 이사가 선임된 이유는 정이사 2명 추천 몫을 종전 2기 정이사회가 행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부 대학구성원들은 종전 2기 정이사 중 일부 인사들이 추천 내용에 의구심을 갖고 있다는 여론이다.  

지난 2014년에 구성한 2기 정이사회는 강현욱 전 전북지사(2기 정이사회 이사장), 김용억 전 광주광역시의원, 유세희 전 고려대 교수, 이효복 전 조선대 교수, 김현정 이사. 옛 조선대 경영진 인척), 김창훈 부동산중개사, 이광호 광주 동구청 공무원, 황금추 동광건설 회장(중도 사퇴) 등으로 출발했었다.

교육부가 조선대 정이사를 선임함에 따라 학교법인 조선대학교는 교육부의 선임 행정절차 등 통보가 완료되면 최대한 빠른 시일안에 첫 이사회를 열어 이사장을 호선으로 선출할 계획이다.

조선대학교 일부 구성원들은 "이번 3기 정이사회는 1946년 민립대학으로 설립한 조선대학교의 정체성과 4.19, 5.18. 1987년 조선대 학원민주화 투쟁에 이르는 대학의 역사성을 존중하는 이사회 운영이 되기를 바란다"는 여론이다.

또 "대내외적으로 급변하는 대학환경에 맞춰 공익형 사립대로서 소유와 경영구조를 변화하려는 장기적인 목표에도 대비하는 명실상부한 이사회가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선대학교는 지난 1946년 개교 이후 박철웅 옛 경영진의 전횡에 맞선 1987년 학원민주화 투쟁을 통해 1988년 임시이사회(관선이사) 체제로 운영돼왔다.

이후 조선대는 22년만인 지난 2010년 1기 정이사 체제로 전환하여 2014년 제2기 정이사회까지 운영했으나 옛 경영진 쪽 이사들이 일부 포진하면서 내부 파열음을 겪다가 2017년 임시이사 체제로 재전환한 것.

이어 지난해 3월까지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해오다 올해 1월까지 임시이사들의 임기가 만료되면서 이번에 3기 정이사회를 구성하기에 이른다.

이번에 선임된 조선대학교 법인 3기 정이사회가 "옛 경영진 쪽 인사 포진"이라는 한계를 딛고 대학구성원들과 어떻게 소통하면서 이사회를 운영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