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사분위, 25일 조선대 정이사회 체제로 전환 결정
임시이사회 내달 임기 종료...정이사회 구성까지 권한 유지
차기 정이사회 9명 이사 '공영형 민립대학'으로 진용 갖춰야

조선대학교(총장 직무대행 이대용)가 현 2년 임기의 임시이사회 체제를 끝내고 2년 만에 정이사회를 구성하게 됐다. 

따라서 조선대는 9명의 정이사회 구성을 위한 이사 추천 국면으로 빠르게 전환할 예정이다.

교육부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지난 25일 서울교대 본부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지난 2017년부터 2년간 유지해온 조선대 현 임시이사회 체제를 마감하고 정이사회 체제로 전환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조선대학교 캠퍼스 전경.
조선대학교 캠퍼스 전경.

사분위 결정에 따라 현 조선대 임시이사회는 오는 12월 13일 임기가 종료하지만 차기 정이사회가 구성될 때까지 법인의 긴급한 주요 사안들을 처리하는 긴급권한권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선대 구성원들은 차기 정이사회 구성을 앞두고 '공영형 민립대학'에 준하는 각계 인사들을 대상으로 이사 추천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선대는 해방 이후 민족교육을 위해 7만2천여명에 이르는 민중들이 십시일반 가금을 모아 최초로 민립대학으로 1946년 개교했으나 고 박철웅 총장이 사유화하면서 대학구성원가 지역민들의 반발을 사왔다.

박철웅 총장의 전횡에 반발한 조선대 구성원들은 1960년 4.19혁명, 1980년 5.18광주민중항쟁 과정에서 학내민주화 운동을 깃발을  들었으나 실패를 거듭하다가 1987년 6월항쟁과 1988년 1.8학원자주화 투쟁을 승리하면서 민립대학으로서 제자리를 찾았다.  

이에 따라 1988년부터 22년동안 임시이사회 체제와 이후 2010년 정이사회를 구성하여 법인을 운영해왔으나 이명박 정권 이후 옛 경영진인 박철웅 일가가 이사회에 복귀하면서 심각한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어 지난 2017년 현 임시이사회가 구성돼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처럼 조선대 이사회는 대학구성원의 입장과 분열보다는 정권의 성격에 따라 옛 경영진이 이사회에 복귀하는 등 민립대학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체제가 들어서면서 대학구성원들의 큰 반발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따라서 2년만에 다시 들어설 차기 조선대 정이사회가 '공영형 민립대학'이라는 방향과 성격에 맞는 인사들로 구성될 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