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로 빚은 개미에 ‘인기몰이’...군민회관 1층에서 전시

화순 국화향연이 펼쳐지고 있는 화순읍 남산공원 군민회관 1층에서 열리고 있는 특별한 전시회가 화제다.

‘개미 작가’로 잘 알려진 목공예 작가 김관철(56) 씨의 전시회가 국화향연 관람객들의 눈길을 잡아끈다.

조각칼로 나무를 깎고 다듬기를 수없이 반복하며 완성한 작가의 개미 목공예 작품을 마주하는 관람객이라면, 누구나 탄성이 절로 난다.

관람객들은 정교한 작품에 놀라고 신기하다는 반응을 보인다. 김관철 작가에게 작품에 관해 묻기도 하고 작품을 촬영하는 관람객이 많다.

국화향연과 함께하는 ‘개미 작가’의 전시회 ‘눈길’

김관철 개미작가. ⓒ전남 화순군청 제공
김관철 개미작가. ⓒ전남 화순군청 제공

김 작가는 ‘정밀 조각’으로 독보적인 작품 활동을 펼쳐왔다.

흑단이나 박달나무 등 단단한 나무를 사용해 개미 다리의 관절 마디와 더듬이까지 세세하게 조각해 놓은 개미의 형상들. 실물에 가까운 크기여서 마치 살아있는 듯 정교하다. 14개월에 걸쳐 ‘만추’라는 대작을 완성해 주목받기도 했다.

5일 전시장에서 만난 한 관람객은 “이렇게 작고 세밀한 개미를 보며 먼저 놀랐고 소품 정도가 아니라 수백 마리의 개미가 등장하는 작품을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며 “세밀한 조각에 이야기를 담고 있어 개미의 숨결과 표정이 느껴진다”고 감상평을 전했다.

작품 속 개미들의 몸짓과 표정을 들여다보면, 인간사의 생로병사와 희로애락이 전해진다. 김 작가는 개미를 통해 세상의 소소한 모습을 담아내며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왔다.

ⓒ전남 화순군청 제공
김관철 작가의 개미주제 작품. ⓒ전남 화순군청 제공

전시회에서 만날 수 있는 작품은 '세계 속의 화순', '백두산 천지 - 평화의 오케스트라', '천년의 숲 공연 - 전국 노래자랑 화순편', '생로병사', '견우와 직녀' 등이 대표적이다.

귀하고 단단한 흑단·대추나무·호두나무를 소재로 만든 지구본, 지구본을 품듯 감싸고 있는 하트 모양의 소품, 각양각색의 개미가 어우러진 ‘세계 속의 화순’은 지구촌 화합의 한마당을 화순에서 펼친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개미는 무려 219마리다. 2019년을 상징한다.

사랑의 하트에 줄을 이어 지구본을 219마리 개미가 당기는 모습은 화순 국화향연 관람객을 환영하는 동시에 전 세계가 화순을 주목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 개미 매력에 빠져 30년 작품 활동...“나무와 개미는 삶의 활력”

ⓒ전남 화순군청 제공
김관철 작가가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전남 화순군청 제공

김 작가는 작품 ‘천년의 숲 공연 - 전국 노래자랑 화순편’으로 2007년 ‘전라남도 숲 가꾸기 산물전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후, 3년 연속 공모전 최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개미와 인연은 28년 전쯤 한 잡지에서 본 일본 작가의 개미 작품이 계기가 됐다. 돋보기로 자세히 들여다보니 몸통만 나무로 만들고 더듬이와 다리는 철사였다. 더 정밀하게, 더듬이와 다리도 나무를 깎아 만들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

이때부터 우리네 삶을 닮은 개미를 빚어 왔다. 지금은 개미뿐 아니라 무당벌레, 딱정벌레, 쇠똥구리, 사마귀 등 다른 곤충의 세계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현재 김 작가는 모후산 자락 유마사 인근에 자리 잡은 화순군 목재문화체험장을 운영·관리하고 있다. 이곳에서 원목 소품 가구 만들기 프로그램 등 목공예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에게 왜 이렇게 힘들게 개미를 깎느냐고, 또 작품을 팔지 않는 이유가 뭐냐고 물었다.

“우리네 인생과 닮은 작은 생명체의 움직임을 보면 삶의 활력이 넘친다. 나무와 개미는 내 모든 행복의 원천이다. 그래서 개미 작품을 절대 팔지 않는다. 행복을 팔 수는 없으니까. 그리고 작품을 팔면 구매자만 볼 수 있지만, 내가 갖고 있다 전시회를 하면 여러 사람이 함께 보며 기쁨을 나눌 수 있다. 돈과 바꿀 수 없는 것이다.”

ⓒ전남 화순군청 제공
ⓒ전남 화순군청 제공

3cm가량 되는 개미 한 마리를 만드는 데 꼬박 하루가 걸릴 때도 있는 고된 작업이지만, 오늘도 그는 개미를 깎는다.

김 작가의 공예 전시는 오는 10일까지 국화향연과 함께 계속된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