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황정욱 기자 = 장애인들의 노후 대책이 극히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이나 금융, 보험 등을 통한 노후 대비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어 사실상 `노후 사각지대'나 다름 없다는 것이다. 가뜩이나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들의 이 같은 노후 부실은 향후 심각한 후유증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장애인재활협회와 RI 한국위원회는 최근 농어촌 지역 장애인 1천598명, 도시지역 장애인 3천868명을 표본 분석, `농어촌 장애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노후 보장을 위한 준비가 돼 있다'고 응답한 장애인은 13.9%에 불과했다. 나머지 86.1%는 무방비 상태인 셈이다. 대도시(15%), 중소도시(14.5%)에 비해 농어촌 지역(11.8%) 장애인의 노후 준비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후 보장을 위한 은행 저축에 대해선 91.2%가 `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도시 장애인이 90.3%, 중소도시 91.4%, 농어촌 지역이 92.2%로 나타나는 등 시골로 갈수록 노후 대비 은행저축률이 떨어졌다.

민간 보험 가입률도 대도시(15.4%), 중소도시(17.7%), 농어촌 지역(11.1%) 모두 저조했으며, 특히 개인 연금의 경우 가입률이 대도시 3.6%, 중소도시 3.7%, 농어촌 지역 2.4%로 대부분의 장애인들이 배제돼 있다. 더욱이 노후 보장의 보루라 할 수 있는 사회보험에도 28.5%만 가입돼 있는 등 사회의 기본 안전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내 집을 갖고 있다는 응답은 대도시가 30.2%, 중소도시가 33.1%, 농어촌 지역이 40.8%로 집값이 싼 농어촌 지역의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노후 대비를 위한 부동산 보유에서도 대도시(4.3%), 중소도시(7.1%)에 비해 농어촌 지역(16.3%)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보고서는 "도시와 농어촌 지역 모두 노후 보장을 위한 준비가 부족하다"면서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연금 제도의 활성화가 모든 노인들에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hjw@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저작권자 © 광주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